
DECOCON은 2022년에 개발된 친환경 콘크리트로, 상온양생 환경에서 기존 대비 평균 112kg/㎥의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며 약 54%의 CO₂ 배출 저감 효과를 달성했다. 조강 슬래그시멘트를 활용해 일반 시멘트보다 조기강도가 10~30% 우수한 특징을 갖추고 있어, 동절기 강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건설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다.
콘크리트의 주요 재료인 포틀랜드 시멘트(OPC)의 생산 과정에서 1톤당 약 0.8톤의 CO₂가 발생하는 점을 고려할 때, DECOCON은 기존보다 저탄소 배출 효과가 크게 개선된 것이다. 대우건설은 2025년 상반기까지 환경부의 환경성적표지(EPD)와 저탄소제품 인증을 획득하고,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까지 모든 과정에서의 환경 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지속 가능한 건설 문화를 선도할 계획이다.
또한 대우건설은 현장타설 적용 실적을 바탕으로 탄소저감 성과를 인정받기 위해 대한상공회의소의 ‘탄소크레딧’ 인증을 추진 중이다. 탄소크레딧은 온실가스 배출 감소 실적을 크레딧으로 인정받아 탄소거래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제도로, DECOCON의 탄소저감 기술이 적용된 공사에 대한 탄소저감 효과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한편 대우건설은 지난 12일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위기대응’과 ‘책임경영’을 강화하고자 조직 개편 및 임원 인사를 시행했다. 이번 개편을 통해 대우건설은 기존의 7본부 3단 4실 83팀 체제를 5본부 4단 5실 79팀으로 재구성하여 조직을 슬림화하고 세대교체를 단행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했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