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와 금감원은 1일 김 위원장과 이 원장이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장 집무실에서 만나 최근 위메프·티몬 사태의 위법 사항을 관계 기관과 함께 집중 점검하고 향후 유사한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제도개선 방안도 조속히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무역·산업 구조의 급변과 인구구조·기후·기술 등 메가 트렌드의 변화가 우리 금융산업과 금융시장에도 이미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도 공유했다.
변화된 환경에 맞지 않는 금융 규제를 과감하게 혁신하고, 금융감독이 이를 뒷받침해 우리 금융산업의 외연을 넓혀 나가기로 했다. 특히 기업 밸류업 등 자본시장 선진화를 가속화하고 서민·소상공인 지원과 함께, 금융소비자 보호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국회에서는 금융당국 간 관계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지난 22일 김 위원장 인사청문회에서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국회의원인 저로서도 ‘금융감독의 수장이 누구였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금감원에 대한 그립감이 없었다”면서 “금융위가 금융정책을 총괄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게끔 각종 제도나 정책에 대해 활발하게 의견을 피력하고 홍보·참여해달라”고 말했다.
이 원장의 금융투자소득세, 공매도 관련 발언 등과 관련해 ‘월권’ 논란이 소환되기도 했다. 유영하 국민의힘 의원은 “금감원은 금융정책결정기관이 아닌 금융기관의 감독기관”이라며 “개인적 옳고 그름을 떠나서 금감원장이 이런 식의 의견을 밝힌 것은 월권”이라고 주장했다.
이 원장도 지난 25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강명구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에 “지적하신 점을 깊이 새겨듣고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노력하겠다”라며 “새로 오는 금융위원장을 잘 모시고 체계적으로 잘 협력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날 취임한 김 위원장은 1971년생으로 역대 최연소 금융위원장이다. 1972년생인 이 원장과 함께 금융당국을 이끌게 됐다.
한아란 한국금융신문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