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4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정부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가계부채를 잡기 위해 총량 관리 목표를 설정해 안정화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가계부채 연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이내로 관리해 2027년까지 GDP 대비 100% 이내로 낮추는 것이 목표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취약부문 어려움이 가중되지 않는 범위에서 중장기적으로 DSR 적용 범위를 확대하는 것을 검토한다. 현재 전세자금대출과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모기지는 DSR 산정에서 제외하고 있는데, DSR 예외 항목을 줄이는 방안을 살펴본다.
시중은행 등 민간 금융기관이 고정금리 대출을 취급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하는 등 질적 개선도 추진한다. 주담대 고정금리 비중을 2027년까지 50%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권 주담대 고정금리 비중(잔액 기준)은 45.5%다.
정부는 금융회사의 고정금리 목표 달성 정도에 따라 주택금융신용보증기금 출연요율을 우대하는 등 인센티브도 확대하기로 했다. 반대로 변동금리를 많이 취급하면 출연요율 부담을 높인다.
정부는 시중은행의 장기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공급 확대를 위해 커버드본드 발행 및 투자 활성화방안도 마련한다. 커버드 예수금 인정 한도를 발행 규모의 1%에서 2~4%로 늘리고 현재 최대 0.06%포인트 수준인 주신보 출연요율 감면 폭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