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은 금통위는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 2021년 8월 기준금리를 15개월 만에 0.25%포인트 올리면서 통화정책을 정상화하고 나섰다. 같은해 11월, 지난해 1·4·5·7·8·10·11월과 올해 1월까지 0.25%포인트씩 여덟 차례, 0.50%포인트 두 차례 등 모두 3.00%포인트 금리를 높였다.
하지만 지난 2월 동결로 금리 인상 기조가 깨졌고 이후 4월, 5월, 7월, 8월, 10월에 이어 이달까지 일곱 차례 연속 유지했다.
이날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4%로 유지했지만, 내년 성장률은 2.2%에서 2.1%로 낮춰잡았다.
국제 유가 안정으로 당장 물가를 잡아야 할 필요성이 낮아진 점도 동결 결정에 힘을 실어줬다. 최근 미국의 양호한 물가 지표 등을 바탕으로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크게 줄었다.
올 3분기 가계대출 잔액은 1759조1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1조7000억원 늘었다. 2분기 연속 증가세로, 지난해 2분기(1757조1000억원) 이후 5개 분기 만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담대(1049조1000억원)가 3개월 새 17조3000억원이 급증하며 직전 분기(1031조8000억원)에 이어 또다시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영향이 크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지난달에만 주담대를 중심으로 전월 말 대비 6조8000억원 급증했다. 이달 들어서도 가계대출 증가세는 지속되고 있다. 지난 16일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총 689조5581억원으로, 10월 말(686조119억원)과 비교해 약 보름 만에 3조5462억원 불었다.
연준의 추가 긴축 여부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 지난 7월 미국 연준의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5.25~5.50%)으로 한·미 금리차가 역대 최대인 2.00%포인트까지 벌어지면서 원·달러 환율 급등과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스라엘·하마스 분쟁 등에 따른 유가 불안 가능성으로 인플레이션 불씨가 아직 남아있는 점 역시 부담이다. 한은은 이날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예상치를 2.4%에서 2.6%로 상향 조장했다.
금통위는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개선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물가경로가 당초 전망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장기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와 성장의 하방위험, 가계부채 증가 추이, 주요국의 통화정책 운용 및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양상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