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는 효도밥상 사업이 성공적으로 정착해감에 따라 이에 대한 지역 내 호평과 미담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고관절을 다쳐 집에서 홀로 지내고 있던 윤모 어르신(86세)을 발견해 식사와 가사·간병 서비스를 연계 지원한 사례와 균형 잡힌 식사로 당뇨 수치가 좋아져 활동이 원활해진 김모 어르신(만78세)이 그중 하나다.
특히 혼자 생활하던 효도밥상 참여자들은 “갈 곳이 있고 말벗이 있는 게 무엇보다 좋다”라며 “구청에서 식사도 챙겨주고 안부도 물어주니 아들, 딸이 효도하는 기분”이라며 입을 모았다.
‘효도밥상’에 고마움을 전한 이는 참여자만이 아니다. 구 관계자는 “참여 어르신의 자녀들이 효도밥상 덕분에 혼자 계시는 부모님 걱정을 한시름 덜게 됐다며 감사 인사를 많이 하신다”라고 밝혔다.
구는 2024년, 효도밥상 사업을 더욱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구는 더 많은 어르신이 효도밥상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망원동 소재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1,000인분의 식사를 조리할 수 있는 ‘반찬공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또 반찬공장에서 조리한 반찬을 제공할 신규 급식 기관 32개소(상반기 16개소, 하반기 16개소)를 올해 추가 모집해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로써 구는 2024년도 말에는 현재의 세 배에 달하는 1500명의 독거 어르신이 효도밥상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