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한국거래소(이사장 손병두닫기

이 밖에 개미들은 ▲포스코홀딩스(-1325억원) ▲엘앤에프(-916억원) ▲포스코퓨처엠(-839억원) ▲금양(-134억원) 등에 대해서도 탈출 러시를 이어갔다. 반면 차세대 이차전지 울트라커패시터(UC)를 생산하는 LS머트리얼즈는 지난 12일 코스닥 상장 첫날에만 2804억원을 사들이며 ‘2호 따따블(공모가 대비 4배 상승)’에 올랐고 ▲LG에너지솔루션(+2113억원) ▲LG화학(+1055억원) ▲에코프로비엠(+766억원) 등도 매수우위를 보여 상반된 분위기를 연출했다.
이같이 하반기 들어 이차전지주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열기가 식은 이유는 전기자동차 수요 부진, 미국 IRA 불확실성 등의 악재 때문이다. 이안나 유안타증권(대표 궈밍쩡) 연구원은 “이차전지 섹터는 내년 미국 대선에 따른 IRA 불확실성, EV 수요 둔화, 수주 공백기, 낮아진 밸류에이션 매력도 등으로 ‘비중 축소’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연초 대비 내년도 영업이익 추정치가 가장 크게 줄어든 곳은 에코프로며 1조1441억원에서 5005억원으로 56.3% 감소했다. 이밖에 ▲SK아이이테크놀로지(-56.1%) ▲에코프로비엠(-43.6%) ▲포스코퓨처엠(-40.1%) ▲삼성SDI(-22.3%) ▲LG화학(-16.7%) ▲SK이노베이션(-12%)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LG에너지솔루션 홀로 17.6%의 상승률을 보였다.
증권가에서는 내년 이차전지 업종은 3대 변수인 ▲전기차 판매량 ▲정책 변수 ▲금리를 고려했을 때 ‘상저하고’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슈퍼화요일(3월 5일)이 지나면 공화당 대선 후보는 사실상 확정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 시기를 전후로 이차전지 산업 주가에 반영되는 트럼프닫기

김 연구원은 내년 하반기부터는 이 같은 불확실성이 잦아들 것으로 봤다. 특히 이차전지 산업의 최대 리스크는 최근 1년간의 금리 상승이었는데,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를 논의중이라고 언급해 금리 변수는 해소될 전망이다.
그는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는 구도를 전제하더라도 하반기부터는 시장이 현실론을 반영해 나갈 것”이라며 “러스트벨트(미국 쇠락한 공업지대) 지역에 집중된 IRA 정책의 수혜 강도 등을 고려할 때 트럼프 정책이 현재 한국 이차전지 산업의 투자 포인트를 완전히 훼손시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연말과 내년 연초의 배터리 섹터 주가 랠리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1분기 실적 발표 시즌이 지난 뒤 4~5월에는 판매량 전망치의 현실화, 정책 리스크의 현실화 과정을 거치며 주가 반등의 토양이 마련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한신 기자 poch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