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2일 오전 7시30분 명동 은행회관에서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가 열렸다. / 사진제공= 한국은행(2023.11.02)
[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정부는 2일 "미국 등 주요국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고, 지정학적 불안 요인에 따른 불확실성도 높아 향후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병환닫기김병환기사 모아보기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오전 7시30분 명동 은행회관에서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각별한 경계감을 갖고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한국은행 부총재,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등이 참석했다.
연준은 1일(현지시각) 이틀 간 FOMC 정례회의 뒤 성명에서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FFR)를 5.25~5.50%로 유지키로 만장일치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2회 연속 동결이다.
참석자들은 FOMC 결과 공개를 앞두고 미국 재무부가 장기국채 발행 속도 조절을 발표한 가운데, FOMC 결과가 예상에 부합하고 특히 금융 여건이 긴축적이라는 FOMC 성명서 등을 시장이 긍정적으로 해석하면서 미국 국채금리가 하락하고, 주가는 상승, 달러화는 약세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다만,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직 미국 등 주요국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고, 지정학적 불안 요인에 따른 불확실성도 높아 향후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참석자들은 각별한 경계감을 갖고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하였다.
김 차관은 "정부와 한국은행 등 관계기관은 고금리 장기화 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확대로 인해 국내 금융·외환시장 변동성이 커지지 않도록 분야별 취약부문 관리에 만전을 다하는 한편, 관계기관 철저한 공조하에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할 경우에는 상황별 대응계획(Contingency plan)에 따른 시장안정조치를 신속히 시행해 나가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