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종민닫기


증권사별로는 메리츠증권이 694억3100만원으로 가장 많이 지급했다. 그 뒤를 ▲하나증권(629억5300만원) ▲KB증권(413억5500만원) ▲삼성증권(329억2100만원) ▲신한투자증권(296억8100만원) ▲한국투자증권(228억3100만원) 등이 이었다.
증권사들은 지난 2020년과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개인투자자의 주식 열풍에 힘입어 사상 최대 실적을 누렸지만, 2021년 말부터는 증시 부진과 금리 인상의 여파로 지난해 순익은 감소세로 전환했다.
실제 금감원이 발표한 ‘2022년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58개 증권사의 당기순이익은 4조5131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전년(9조896억원) 대비 4조5765억원 감소(-50.3%)했다.
또한 증권사들은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우려가 확대되면서 유동성 위기를 겪어 올해 초 금융당국으로부터 성과급 지급 현황을 점검받기도 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실적이 부진한 상황에서도 성과급 지급 규모를 늘리는 것에 대한 문제를 지적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17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부동산 경기 침체기에 증권사 임직원이 성과급 잔치를 벌인다’는 지적에 대해 “잘못 설계된 체계로 인해 과도한 성과급이 지급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업권과 사업장별로 과도한 사례가 없는지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전한신 기자 poch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