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는 22일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국제금융센터, 민간 시장 전문가 등과 함께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를 개최해 중국 부동산 시장 등 대외요인과 최근 환율상승에 따른 금융회사의 외화건전성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다만 중국 부동산 부문이 중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하면 중국의 부동산 경기 회복이 지연될 경우 중국경제 전반에 걸친 불안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에 의견을 모았으며 향후에도 중국경제 상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이어가기로 했다.
또한 중국 부동산 개발기업에 대한 국내 금융회사의 익스포저가 약 4000억원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해 중국 부동산 시장 불안이 국내 금융회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업권별로는 증권사 2200억원, 보험사 1400억원 등이며 모두 유가증권 보유에 따른 익스포저로 확인됐다.
아울러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환율 상승에 따른 금융회사들의 외화자금 조달 여건과 외환건전성에 대한 점검도 이뤄졌다. 최근 환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금융회사들의 외화자금 조달 여건과 외환건전성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환 시장 변동성 심화 등 스트레스 상황을 가정한 경우에도 대부분의 금융회사는 양호한 자금흐름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의 참석자들은 중국발 위험요인의 단기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나 중국 부동산 침체의 장기화 등으로 중국경제 성장세 부진이 심화될 경우 중장기적으로는 다양한 경로로 우리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향후 다각도의 모니터링을 진행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김소영 부위원장은 “미국 긴축 장기화 우려, 지정학적 갈등 심화 등 다양한 대외 불확실성이 잔존하는 만큼 하반기에도 세계 경제, 금융시장 흐름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정책대응의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면서 “향후 대내외 불안요인과 글로벌 경제·금융 동향 등에 대해 순차적으로 점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위는 다양한 이슈를 집중 점검하기 위해 관계기관, 금융권 및 시장전문가들로 구성된 금융리스크 대응반을 가동해 상시적으로 금융시장 현안을 점검하고 시장과 소통하면서 정부 대응방향 등을 설명해 나갈 계획이다. 내년 글로벌 경제 흐름 및 위험요인의 국내 파급효과, 미국 국채금리 상승 등 고금리 영향, 국내외 경제 성장 전망, 국내 부동산시장, 금리 여건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점검해나갈 계획이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