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은 20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오른쪽에서 두번째), 김주현 금융위원장(왼쪽에서 두번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 첫번째), 최상목 경제수석(오른쪽 첫번째)과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하고 최근 글로벌 경제·금융 주요 현안과 영향을 집중 점검했다. / 사진제공= 기획재정부(2023.08.20)
[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정부가 중국 부동산 위기 우려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보고 모니터링 강화 및 필요시 시장 안정 조치를 신속히 시행하기로 했다.
추경호닫기추경호기사 모아보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이창용닫기이창용기사 모아보기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닫기김주현기사 모아보기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최상목닫기최상목기사 모아보기 경제수석과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열고 점검에 나섰다.
경제 및 금융수장들은 중국 부동산 부문의 어려움, 미국 국채시장 변동성 확대 등으로 전 세계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짚었다.
이에 따른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에 대한 국내 금융사의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규모는 4000억원으로 크지 않다고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다만 정부는 '차이나 리스크'를 주요하게 보고 있다.
국내 실물 금융시장에 미칠 당장의 직접적인 파장은 제한적일 수 있지만, 대중(對中) 수출 규모가 큰 우리나라에 향후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예의주시 하고 있다.
정부는 작년 하반기부터 가동하고 있는 범정부 경제 상황 합동점검반을 통해 주요 위험 요인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또 상황 별 대응계획을 재점검하고 필요한 때에는 관계 기관과의 공조를 통해 시장안정 조치를 신속히 시행해 나가기로 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