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라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24.0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1% 올랐다.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9년 2월 14.3% 이후 14년 3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이다.
라면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3.5%에서 10월 11.7%로 크게 오른 뒤 지난달까지 8개월 연속 10% 이상을 기록했다.
라면 물가가 계속해서 높은 상승률을 보이는 이유는 제품 가격이 연달아 올랐기 때문이다.
라면 가격뿐만 아니라 식품 전반적으로 물가가 오르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의 먹거리 지표인 ‘가공식품과 외식 부문’ 세부 품목 112개 중 27.7%(31개)는 물가 상승률이 10%를 웃돌았다.
세부적으로 잼이 35.5%로 가장 높고 치즈(21.9%), 어묵(19.7%), 피자(12.2%), 두유(12.0%), 커피(12.0%), 빵(11.5%), 햄버거(10.3%), 김밥(10.1%), 김치(10.1%) 등도 높은 편이었다.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3%로 둔화했지만, 먹거리인 가공식품(7.3%)과 외식(6.9%)은 전체 물가 상승률의 두 배를 넘어섰다. 상승폭 자체는 둔화고 있지만 이는 지난해 식품 가격이 크게 오른 기저효과 영향으로 풀이된다.
먹거리 가격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건 누적된 원가부담, 인건비 등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국제 에너지 가격 불안, 기상여건 악화 등 향후 먹거리 가격과 관련한 불확실성 역시 높은 상황이란 분석이다.
홍지인 기자 helena@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