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수용 웹3.0포럼 운영위원장은 23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2023 한국금융미래포럼-K금융 스마트 플랫폼 전략으로 미래를 열자’에서 “디지털세상은 현실세계를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했지만, 조금씩 디지털세상이 중요해지고, 이 세상속 갱쟁력이 현실세계 자산 경쟁력이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수용 위원장은 이날 포럼에서 ‘인공지능(AI‧Artificial Intelligence)‧탈 중앙화 금융 시스템(DeFi)‧대체 불가능 토큰(NFT‧Non-Fungible Token)‧메타버스(Metaverse‧3차원 가상 세계) 웹3.0시대 금융전략’주제로 패널 발표를 진행했다.박 위원장은 데이터에 대한 참여자의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보상 정책 ▲데이터 주권 ▲신뢰 구축 등이 이뤄져야, 웹3.0 시대 치열한 디지털 금융 경쟁에서도 살아남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웹 3.0은 데이터에 대한 참여자의 권리를 보장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플랫폼 종속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박 위원장은 웹3.0이 활용되는 다양한 사례도 설명했다. 예를 들어 브레이브 브라우저(Brave Browser)를 통해 광고나 웹사이트 트래커(Tracker‧추적자)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허용 설정으로 이용자는 광고를 보고, 클릭 시 BAT 토큰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웹3.0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데이터 소유권이나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를 초거대 AI 기업에 제공하면 부정확하거나 부족한 데이터를 통한 거짓 답변을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다는 게 박 위원장의 설명이다.
박 위원장은 “웹3.0에선 개인, 즉 참여자 권리와 소유, 보상이 보장된다. 아울러 유통되는 정보나 데이터도 신뢰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독점적 플랫폼에서 탈 독점 플랫폼으로 전환이 이뤄졌다. 제공자 중심의 인터넷에서 ‘나 중심’ 인터넷으로 환경이 바뀐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박수용 위원장은 “한 음악플랫폼을 사용하다가 더 좋은 음악플랫폼으로 옮기려고 하니, 처음서부터 ‘나’라는 것을 맞추기 위해 시간을 소비해야한다”며 “이런 번거로움을 웹3.0이 해결할 수 있다. 관련 실험을 해보고 선점하는 게 한국 AI 산업 경쟁력 확보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박수용 웹3.0포럼 운영위원장은 그동안 블록체인 기술 관련 전문가다. 서강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이자 엠블럭 대표이사와 한국블록체인학회 제2대 회장을 맡고 있다.
서강대 컴퓨터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서 컴퓨터 및 정보과학 석사 학위를, 조지메이슨 대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서강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소프트웨어 요구 및 검증 공학 기술 연구센터 책임교수와 정보통신대 학원장 등을 지냈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