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기업금융), PB(프라이빗뱅킹) 등에서 실적을 낸 성과급이 연봉을 끌어올렸다.
20일 현재까지 발표된 증권사 2022년 사업보고서 공시를 종합하면, 안재완 전 메리츠증권 자산운용총괄본부 전무 2022년 연간 보수가 46억5813만원으로 CEO 제외 임직원에서 업계 최대를 기록 중이다. 안 전 전무의 보수 가운데 성과급이 17억4055만원에 달한다.
이는 최희문닫기

CEO인 장석훈닫기

NH투자증권도 조규상 전 운용사업부 대표가 퇴직소득(20억7500만원)을 포함해서 2022년 연간 총 31억6200만원을 보수를 받았다.


박정준 부국증권 IB사업부문 대표도 2022년 연간 보수가 36억9200만원이다. 역시 상여 성과급이 33억1000만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김기형 메리츠증권 기업금융사업부문 사장 2022년 연간 보수도 36억199만원에 달했다. 김 사장 보수도 상여 성과(30억7000만원)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오동진 유진투자증권 IB부문 대체투자팀장은 2022년 연간 보수가 35억7700만원에 달한다. 성과급이 34억6200만원으로 대부분이다.
안재우 BNK투자증권 부동산투자본부 상무 연간 보수도 32억5100만원인데, 이 중 성과급 비중이 30억7700만원에 이른다.
이 밖에도 10~20억원대 '두둑한' 보수를 받은 임직원이 다수 나왔다.
배경을 보면 성과급 상당액이 이연해서 몇년 간 분할 지급되는 탓에, 작년 다소 부진했던 가운데서도 앞서 호황기 누적된 성과급 비중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유진투자증권(유창수 대표 15억5700만원, 고경모 대표 7억300만원), 부국증권(박현철 대표 7억8100만원), BNK투자증권(김병영 대표 6억800만원) CEO와 비교할 때 모두 IB맨들의 보수가 앞섰다.
현재 공시까지 증권가 보수킹 대열에는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대표이사 회장이 연간 보수 51억1300만원으로 올라섰다. 역시 기본급여가 16억6700만원이고, 상여가 34억4400만원으로 비중이 훨씬 크다.
하지만 한국투자증권 사업보고서가 이번주 중 공시되면 순위가 바뀔 가능성이 점쳐진다. 앞서 정일문 한국투자증권 대표이사 사장은 2022년 상반기 기준 만으로 50억8917만원의 보수를 받은 바 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