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간 집값은 떨어져도 땅값 상승은 계속됐다는 점을 들어 향후 금리 인하 시기가 찾아오면 땅값에 기반해 집값이 다시 올라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지만, 땅값마저 고금리 장기화 속에서 하락하면서 이번에야말로 집값 대세하락의 전조가 나온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통계작성 이래 집값이 소폭 하락과 상승을 반복했던 적은 있었지만, 땅값만큼은 하락한 적이 없었다. 글로벌 경제위기 여파가 덮쳤던 2013년도에 0.001%로 가장 낮은 상승폭을 보이긴 했으나, 최근 10년 사이에는 땅값은 하락세 없이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왔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지난해 연간 전체 토지 거래량은 약 220만9천 필지(1천795㎢)로 2021년 대비 33%(108만7천 필지), 2020년 대비 37.0%(129만7천 필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찬가지로 글로벌 경제위기 여파가 이어진 2013년과 비슷한 수치다.
공공택지 발굴도 여의치 않은 모습이다. LH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입찰 공고를 내고 분양에 들어간 공동주택용지 총 8개 필지 가운데 매각이 완료된 필지는 인천 검단과 경북 칠곡 북삼지구 아파트 용지 2개뿐이며, 전체의 75%인 6개 필지는 신청기업이 없어 유찰됐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호황기에는 어떤 위치에건 공급만 이뤄지면 특별한 홍보 없이도 입소문만으로 완판되는 경우도 많았지만 지금은 시장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며, “이런 시기에는 무리한 사업 확장보다는 일단 있는 것만 잘 지키자는 안전 중심 전략이 일반적”이라고 말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