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자산운용은 17일 미국 저평가 가치주에 투자하는 ‘신한 누버거버먼 미국가치주 펀드’를 삼성증권(대표 장석훈닫기

누버거버먼 펀드는 연초 이후 지난해 12월 말 기준 –1.98% 수익률을 보였다. 주식과 채권시장 동반 부진으로 최악의 한 해에 선방한 것이다. 같은 기간 미국 대표 지수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Standard & Poor's) 500지수는 –18.63%, 펀드 비교지수인 러셀 1000(Rusell 1000 Value Index)은 –9.92%를 기록했다. 누버거버먼 펀드가 큰 폭으로 두 지수 성과를 웃도는 모습이 확인된다.
장기적으로 봐도 좋다. 최근 3년 연평균 수익률은 13.33%다. 비교지수를 두 배 가까이 넘어서는 수준이다. 이 펀드는 글로벌(Global‧세계적인) 펀드 평가사인 ‘모닝스타’(MORNING STAR‧대표 쿠날 카푸르)로부터 3‧5‧10년 전 구간에서 최고 등급인 ‘5스타(star)’를 받기도 했다.

신한자산운용 측에 따르면 물가가 치솟는 최근 상황에 투자하기 유용할 전망이다. 경제 위기 후 회복기에 빛을 보는 가치주 시대에 최적의 투자 대안을 제시한다.
미국 노동부는 최근 2022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consumer price index) 상승률이 6.5%라고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기록한 7.1%보다는 둔화했지만, 올해도 물가 상승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통상적으로 물가 상승률이 가파를수록 성장주보다 탄탄한 재무 상태와 견조한 기업 실적을 갖춘 가치주가 주목받는다. 실제로 ‘S&P500 Value/Growth Index’ 지수를 살펴보면 본격적으로 금리 인상을 예고한 2020년 하반기 이후 가치주가 성장주를 추월해 현재 큰 격차를 나타내고 있다.
박정호닫기

그러면서 “누버거버먼 미국 가치주 펀드는 2006년 설정 이후 꾸준히 미국 대형가치주 유형 대비 초과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며 “3년 이상 구간에선 상위 2퍼센트(%) 이내를 기록하면서 월등한 성과를 지속해서 이어가는 중”이라 덧붙였다.
한편, 신한 누버거버먼 미국 가치주 펀드는 ‘환 헤지(Hedge‧위험회피)형 상품’이다. 환율 변동 위험에 있어 자유롭다고 할 수 있다. 연간 총보수는 선취, 후취 수수료 모두 없는 미징구로 온라인형(C-e) 기준 0.850%다.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