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김관주 기자] 우리은행에 이어 신한은행이 한시적으로 취약차주의 중도상환수수료를 받지 않기로 했다.
이번 조치로 취약차주는 중도상환해약금 없이 고금리 대출을 낮은 이자의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게 됐다. 현재 금융기관은 돈을 빌린 고객이 만기 전에 대출금을 갚을 경우, 대출액의 1~2%에 달하는 페널티 수수료를 받고 있다.
취약차주는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자(소득하위 30%)이거나 신용등급 하위 7~10등급의 저신용자를 뜻한다.
신한은행(행장
한용구닫기
한용구기사 모아보기)은 금융소비자의 대출 상환 부담 완화를 위해 오는 18일부터 최대 1년간 중도상환해약금을 전액 면제한다고 16일 밝혔다. 신한은행은 이번 중도상환수수료 면제 시행으로 12만4000명의 고객(약 9조9000억원의 가계대출금)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지원 대상은 2022년 말 기준 가계대출(신용·전세자금·주택담보대출)을 보유한 신용등급 하위 30% 가운데 중도상환수수료가 발생하는 고객이다. 신한은행은 고객이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대출금을 상환할 때 대상 여부를 확인해 자동으로 면제 처리할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지난 2일부터 신용등급 5구간 이하 저신용자에 대한 중도상환수수료를 1년간 면제하고 있다. 또한 가계대출 중도상환해약금 면제 가능 시기를 기존 대출 만기 1개월 전에서 3개월 전으로 늘려 대상을 확대했다.
국민은행과 하나은행, 농협은행은 이달 중 중도상환수수료 면제 정책을 실시할 계획이다. 국민은행은 외부 신용평가사(CB) 7등급 이하 차주, 하나은행은 코리아크레딧뷰로(KCB) 신용평점 하위 30% 차주에 대해 가계대출 중도상환해약금을 1년 동안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중이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