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NK금융은 12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개최해 2차 최고경영자(CEO) 후보군으로 안감찬 부산은행장, 빈대인닫기

1차 관문을 통과했던 이두호 BNK캐피탈 대표, 손교덕 전 경남은행장, 위성호닫기

이날 임추위에서는 1차 CEO 후보군 6명을 대상으로 프레젠테이션(PT) 및 면접 평가를 실시했다. 1차 CEO 후보군 6명은 각각 ‘그룹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경영전략 및 미래 비전’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한 후 질의응답과 전문성, 리더십 등에 대한 개별 면접을 실시했다. 아울러 임추위는 PT 및 면접 평가와 함께 외부 자문기관의 평판조회 보고서를 통해 각 후보자의 대내외 평판에 대해서도 점검했다.
1963년생인 안감찬 부산은행장은 홍천고를 졸업한 후 부산대 경영학과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9년 부산은행에 입행한 뒤 금정·광안동·감전동 지점장, 북부영업본부장, 경영기획본부 부행장보, 여신운영그룹 부행장 등을 역임했다. 2021년 4월에는 부산은행 수장 자리에 올랐다.
부산은행은 안 행장이 이끌면서부터 매년 순이익을 키우고 있다. 지난해에는 1~3분기 3904억원을 기록해 전년도 한 해 동안 거둔 순이익(4026억원)을 거의 따라잡았다. 또,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산은행은 BNK금융 순이익 중 45%를 상회하는 비중을 차지했다. 또, 안 행장은 지역사회와 노동조합 등 직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빈대인 전 부산은행장은 1960년생으로, 원예고와 경성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1988년 부산은행에 입행했다. 이후 영업본부장, 미래채널본부장 등에서 경력을 쌓았다. 2017~2021년까지는 부산은행장을 맡았다.
김윤모 노틱인베스트먼트 부회장(1959년생)은 대동고를 나와 고려대 통계학을 전공했다. 1983년 조흥은행에 입행해 금융권과 연을 맺었다. 한미은행과 하나은행·증권에 이어 리딩투자증권 투자은행부문 대표, 솔로몬투자증권 사장, KTB프라이빗 에쿼티 부회장, AJ인베스트먼트 대표 등을 역임했다. 2021년부터는 노틱인베스트먼트 부회장과 SK에코플랜트 사외이사를 맡고 있다.
외부 출신인 김 부회장은 지난 40여 년간 은행뿐 아니라 증권·캐피탈·사모펀드(PE)도 넘나들었다. 2차 CEO 후보군 가운데 유일하게 비은행 부문에 전문성을 갖춘 리더다.
임추위는 오는 19일 2차 CEO 후보군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할 예정이다. 심층 면접 종료 후 임추위에서 최종 CEO 후보자를 선정·추천하고, 같은 날 이사회를 개최해 최종 후보자를 확정한다. 최종 후보자는 3월 정기주주총회 및 이사회에서 차기 대표이사 회장으로 선임된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