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2월 4주 –0.74%의 하락폭을 기록했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폭은 2주 연속 축소되며 이번주 기준 –0.45% 선까지 줄었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폭 역시 –0.76%에서 –0.52%까지 축소됐으며, 지방 역시 –0.59%에서 –0.41%까지 하락폭이 줄어들었다.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3년 1월 2주(1.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52% 하락, 전세가격은 0.76% 하락했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65%) 대비 하락폭 축소됐다. 수도권(-0.81%→-0.64%), 서울(-0.67%→-0.45%) 및 지방(-0.50%→-0.41%) 모두 하락폭 축소(5대광역시(-0.60%→-0.50%), 8개도(-0.38%→-0.30%), 세종(-1.31%→-1.14%))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14%), 인천(-0.73%), 경기(-0.72%), 대구(-0.63%), 대전(-0.54%), 경남(-0.53%), 부산(-0.50%), 서울(-0.45%), 울산(-0.36%) 등 하락했다.
도봉구(-0.77%)는 방학‧쌍문‧창동 구축 위주로, 노원구(-0.70%)는 중계‧상계‧하계동 중소평형 위주로, 중구(-0.62%)는 구도심 내 소규모 단지 위주로, 은평구(-0.60%)는 응암‧불광‧녹번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했다. 강남의 경우 강서구(-0.60%)는 내발산‧가양‧등촌동 위주로, 금천구(-0.53%)는 시흥‧독산동 주요단지 위주로, 구로구(-0.44%)는 신도림‧구로‧고척동 대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43%)는 영등포‧신길‧문래동 위주로 하락했다.
인천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폭 역시 지난주 –0.99%에서 이번주 –0.73%로 축소됐다. 연수구(-1.01%)는 송도신도시 하락여파가 인근지역으로 확대되며 송도‧연수‧옥련동 위주로, 남동구(-0.84%)는 논현‧간석동 대단지 위주로, 서구(-0.70%)는 입주물량 영향으로 가정‧검암동 위주로, 계양구(-0.70%)는 작전‧효성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82%) 대비 하락폭 축소됐다. 수도권(-1.15%→-1.05%), 서울(-1.15%→-1.05%) 및 지방(-0.52%→-0.48%) 모두 하락폭 축소(5대광역시(-0.65%→-0.64%), 8개도(-0.37%→-0.33%), 세종(-1.40%→-1.12%))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12%), 경기(-1.06%), 서울(-1.05%), 인천(-0.96%), 대구(-0.75%), 부산(-0.70%), 대전(-0.68%), 울산(-0.56%), 경남(-0.51%)등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하락폭은 지난주 –1.15%에서 이번주 –1.05%로 축소됐다. 여전히 매물적체 장기화에 따른 임차인 우위시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봄철 이사 성수기 대비 및 일부 학군 이주수요 문의 발생하며 일부 방매호가 하락폭이 축소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다만 이것이 추세적인 수요증가로 이어지지 않으며 하락세 자체는 지속됐다.
용산구(-1.43%)는 도원‧산천‧용문동 주요단지와 이촌동 구축 위주로, 성북구(-1.17%)는 정릉‧길음동 대단지 위주로, 노원구(-1.16%)는 중계‧상계‧공릉동 위주로, 서대문구(-1.11%)는 남가좌‧홍제‧홍은동 위주로, 도봉구(-1.00%)는 방학‧쌍문‧창동 위주로 하락했다.
양천구(-1.65%)는 목‧신정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서구(-1.20%)는 내발산‧화곡‧염창동 대단지 위주로, 강동구(-1.18%)는 암사‧고덕‧천호동 위주로, 구로구(-1.04%)는 신도림‧구로‧개봉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남구(-1.10%)는 입주영향 있는 대치‧개포‧도곡동 주요단지 위주로 하락했다.
인천 아파트 전세가격 하락폭은 지난주 –1.04%에서 이번주 –0.96%로 줄어들며 –1%대 하락폭을 벗어났다. 그러나 연수구(-1.21%)는 송도신도시 입주물량의 영향을 받는 송도‧연수‧옥련동 위주로, 부평구(-1.14%)는 삼산‧부평동 대단지 위주로, 계양구(-1.06%)는 효성‧작전동 구축단지 위주로, 남동구(-1.00%)는 서창‧간석‧구월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하는 등 낙폭이 큰 지역은 여전히 존재했다.
경기 아파트 전세가격 하락폭은 지난주 –1.17%에서 이번주 –1.06%로 축소됐다. 매매가격 하락으로 일부 매물이 전세로 전환되는 등 매물적체 지속되는 가운데, 양주시(-3.05%)는 옥정신도시 및 인근지역 위주로, 광명시(-1.61%)는 소하‧일직‧하안동 대단지 위주로, 고양시 덕양구(-1.59%)는 도내‧화정‧행신동 주요단지 위주로 매매가격과 동반하여, 화성시(-1.49%)는 동탄신도시 위주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