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오후2시부터 진행된 자동차보험정비협의회는 정비수가 인상률을 결정짓지 못하고 내년 초 다시 회의를 열기로 했다.
이날 자동차 정비업계, 보험업계, 공익대표가 참여해 3가지 안을 두고 투표를 진행했으나 투표 진행 과정에서 정비업계 일부 위원이 나가면서 정족수 부족으로 투표가 중단됐다. 자동차보험정비협의회는 1~3안 중 1안이 부결 되면 2안으로, 2안이 부결되면 3안 투표를 진행해 결정하기로 했다. 당시 자동차보험정비협의회 위원들은 사전에 투표에 참석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1안은 정비업계가 제시한 2023년 3월 연구결과 즉시 적용, 2차 표결안은 국토부가 최초로 제시한 2.5% 인상안, 3차는 공익위원이 중재안으로 제시한 2% 인상안이었다.
위원 퇴장 등으로 회의에서 업계 불만이 터져나오기도 했다. 공익대표에 불만이 제기되자 정비업계에서 직접 국토부와 이야기하라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희의 당시 정비업계에서는 인건비 인상으로 정비수가를 인상하지 않을 경우 적자를 볼 수 밖에 없다며 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회의장에서 "정비업계 종사자는 일반 대기업 신입사원 보다 못한 급여를 받고 있다"라며 "이대로 가면 계속 적자가 나는 구조"라고 말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자동차보험료 인하에 내년부터 대규모 영업적자가 발생될 것으로 보인다"라며 "사실상 정비수가 인상은 어렵다"고 말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올해 손보업계가 사상 최대 이익을 냈다"라며 "정비업계는 임금 인상, 경기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