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금융지주 회장후보추천위원회는 8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회의를 열고 진옥동 신한은행장을 차기 대표이사 회장 후보로 추천했다. 진 내정자는 고졸 출신 은행원에서 은행장을 거쳐 회장 자리까지 오른 입지전적 인물로 꼽힌다. 1961년생인 진 행장은 덕수상고 3학년 때인 1980년 기업은행에 입행해 행원 생활을 시작했다. 1986년 신한은행으로 자리를 옮긴 뒤 은행을 다니면서 학업을 병행해 1993년 방송통신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996년 중앙대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진 행장은 내년 3월 신한금융 정기 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거쳐 신한금융 차기 회장으로 정식 선임된다. 상고 출신으로 국내 굴지의 금융지주사인 신한금융 수장 자리에까지 오르는 셈이다. 진 행장이 신한금융 회장으로 취임하면 5대 금융지주 회장 중 3명 모두 상고 출신 인물로 채워지게 된다.
KB금융그룹을 8년째 이끌어 온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은 금융권의 대표적인 ‘고졸 신화’로 통한다. 1955년생인 윤 회장은 1973년 광주상고를 졸업한 뒤 외환은행에 입행했다. 이후 학업에 대한 꿈을 버리지 않고 은행원 생활을 하면서 야간으로 성균관대 경영학과 다녔다. 은행원과 야간대학생 생활을 병행하면서 공인회계사(CPA) 시험에 합격했고 1981년에는 행정고시(25회) 2차 시험에 차석으로 합격했지만 대학생 시절 학내 시위를 주도했다는 이유로 임용이 취소됐다.
올 3월 하나금융그룹 회장으로 선임된 함영주 회장 역시 상고 출신으로, 고졸 행원에서 금융지주 회장에 오른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된다. 1956년생인 함 회장은 충남 논산 소재 강경상고를 졸업했다. 강경상고는 1920년 개교 후 금융계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인재들을 배출한 명문 상고였다. 함 회장은 1980년 서울은행에 입사해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직장생활과 학업을 병행하며 주경야독해 단국대 회계학과(야간)를 졸업했다. 2008년 8월 미국 와튼스쿨 글로벌과정, 2011년 6월 고려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을 수료했다.
함 회장은 서울은행과 하나은행 통합 후 하나은행 분당중앙지점장, 가계영업추진본부장, 남부지역본부장, 충남북지역본부 본부장, 대전영업본부 본부장, 충청사업본부본부장을 거쳐 2015년 9월 하나·외환은행이 통합한 KEB하나은행 초대 행장을 맡았다. 2016년 3월부터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을 겸직했고 2019년부터는 경영지원부문 부회장으로 그룹의 전략, 재무 기획 등을 총괄하며 차기 회장 입지를 다졌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