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의 방한과 맞물리며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대우건설 등 국내를 대표하는 건설사들이 중동 지역에서 굵직한 프로젝트들을 속속 수주하며 원팀코리아의 해외건설 수주 저력을 과시하고 있다.
이처럼 수많은 먹거리들이 국내 건설사들의 품에 돌아오며 국토교통부도 모처럼 밝은 표정을 숨기지 않고 있다. 국토부 자료는 물론 원희룡 장관이 귀국 직후 유튜브를 통해 사우디 방문 성과를 발표하는 올리며 자축의 제스처를 보이기도 했다.
수백 조 단위의 가시적인 성과는 있지만, 건설업계는 벌써부터 샴페인을 터트리는 것은 다소 이르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수주계약을 체결했다고 해서 곧바로 돈이 들어오는 것도 아니거니와, 미국발 고금리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으로 인한 세계 경제침체 위기가 내년부터 본격화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관측이 나오면서다.
원자잿값 급등이 좀처럼 진정되지 않으며 공사에 필요한 필수 원자재 확보 및 공사비가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네옴시티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추진하는 미래도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공사비만 5000억 달러, 한화로 약 700조원에 달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로 기대받고 있다.
그러나 사우디 정부가 이 중 초기 투자금 정도를 제외한 나머지 사업비를 해외 투자자들로 채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과열 경쟁으로 인한 저가 수주 우려도 없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최근 한화 건설부문은 수년간 공들여 진행해왔던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사업에서 철수하기로 했다.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선수금과 기성금으로 43억2200만달러(6조1588억원)를 받았다. 이는 총 공사대금인 101억2000만달러(14조4210억원)의 43% 수준에 불과한 수치다. 공사 미수금은 6억2900만달러(8963억원)에 달한다.
정부 역시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원팀 코리아’를 강조하며 건설사들의 과열경쟁을 자제시키고, 사우디 정부와의 스킨십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교통부는 ”사우디아라비아는 해외건설 누적 수주 1위를 차지하는 핵심파트너 국가인 만큼, 수주지원단 파견 이후에도 다양한 계기를 활용하여 사우디 주요 인사와의 연속적인 네트워킹을 통해 우리기업의 수주 활동을 적극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