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고랜드 디폴트 논란은 과거 강원도가 지급보증을 했던 2050억원 규모의 레고랜드 건설 관련 자산유동화기업어음의 부도처리에서부터 시작됐다. 레고랜드 부동산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증권은 국내 증권사 10곳, 운용사 1곳이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10월 18일 이후 월말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건설사 신용보강에 의한 단기 PF 유동화증권(ABSTB, ABCP) 발행잔액은 당사 평가 건 기준 약 2.1조원 규모이며, 11월에는 2.8조원까지 증가한다. 단기 유동화증권의 특성상 매입보장이 없는 경우 만기에 차환발행이 예정되어 있어, 10월부터 11월까지 차환발행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전날 증권가를 중심으로 일부 채권·펀드의 상환 불능을 둘러싼 풍문, 이른바 '찌라시'가 돌았다. 해당 내용 중에는 일부 건설사와 증권사의 부도·매각을 언급하는 내용도 포함돼 시장에 파문이 일었다.
롯데건설은 “PF대출의 경우 분양이 진행되면 해결되는 부분이고, 둔촌주공이나 청담삼익 등의 분양이 진행되면 모두 회수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하는 한편, “잠실 MICE를 비롯한 개발사업이나 검암 플라시아 등 사업 역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어 기초체력 부분에서 우려할 단계가 전혀 아니다”라고 밝혔다.
유상증자와 관련해서도 ‘선제적 대응’ 차원이라며, “은행권이 돈을 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의 건설경기 침체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고 미리 대응에 나선 것”이라며 최근 돌고 있는 소문을 일축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