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주현태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사장
김헌동닫기
김헌동기사 모아보기)가 추진해온 내곡 보금자리주택사업 관련, 공공주택 자산가치 증가로 개발이익이 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H공사는 내곡지구 사업 착수 전 사업성 검토 내용과 사업 종료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 내곡지구에서 분양주택
2214호
, 임대주택
2138호 공급 및 민간 택지매각
10만
3306㎡
(전체면적의
12.7%)를 통해
1조
3036억원의 개발이익을 거뒀다고
22일 밝혔다
.
내곡지구 투자비는 보상비
, 간접비
, 금융비용의 증가로 사업성 검토 당시와 비교해
2156억원 증가했다
. 임대주택
2138호의 자산가치
1조
2953억원이 추가 반영되면서 개발이익은 사업착수 당시 목표로 했던
2465억원에서
1조
3063억원으로
5배 증가했다
.
내곡지구는
2009년 당시
오세훈닫기
오세훈기사 모아보기 서울시장의 방침으로 장기전세주택 의무건설을 추가해 공공개발사업의 공공임대주택 의무비율을
25%에서
50% 상향함으로써 공공임대주택을 많이 공급한 결과다
. 내곡지구 택지조성원가는
3.3㎡당
890만원이었다.
내곡지구 공사 소유 전용
84㎡ 공공주택의 시세는 현재 세대당 약
18억원
, 세대당 토지 추정 가격은 약
14억원
, 3.3㎡기준 토지가격은
7950만원으로 택지조성원가 대비 토지가격이 크게 증가했다
.
SH공사는 나아가 내곡지구에 건물분양주택을 공급할 경우 사업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도 분석했다
. 그 결과 기존 분양주택을 건물분양주택으로 전환 공급하거나 용적률을 상향해 건물분양주택 공급을 확대할 경우 개발이익이 대폭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
내곡지구 분양주택
2214호를 건물분양주택으로 전환했을 경우 현금 사업수지는
2877억원으로 악화되지만
, 공사소유 토지 자산가치가 증가해 개발이익은
2조
3896억원
(공시가격 기준
)으로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용적률을
450%로 높일 경우 건물분양주택을
8960호 공급 가능하다
. 토지 자산가치 증가
·현금사업 수지 개선으로 개발이익은
3조
1628억원
(공시가격 기준
)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한편
SH공사는 내곡 전체 개발면적
81만
1615㎡ 중
42만
9912㎡
(전체면적의
53%)를 시민을 위한 공원녹지
, 교육시설용지 등으로 조성해 지방자치단체에 무상으로 공급해 공공의 자산을 시민에 환원했다
.
SH공사는 앞으로도 개발사업 추진시 시민을 위한 공공자산을 충분히 확보해 공공자산의 가치를 증대할 계획이며 주택사업 또한 건물만 분양하는 사업 중심으로 전환해 추진할 예정이다
.
아울러 공사가 공공자산을 확보하는 것에 대한 제도적 제약으로 꼽히는 사업타당성 분석 기준과 지방공기업 회계기준 등에 대한 제도 개선을 건의할 예정이다
. 현행 사업타당성 분석 기준과 지방공기업 회계기준은 부동산 가격 변동에 따른 공정가격을 인정하지 않고 있어 사업타당성 검토시 사업성 부족 및 회계결산 손실 등이 발생하고 있다
.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앞으로 주요 사업지구의 사업결과를 추가로 공개해 시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 공사 경영의 투명성
,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공개할 것
”이라고 말했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