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규모별 주택 매매거래 현황을 살펴본 결과, 올해 상반기(1~6월)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3만 4945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전용면적 60㎡ 이하의 주택 매매거래량은 2만 4673건으로 전체 거래량의 70.6%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상반기 기준) 가장 높은 비중이다.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전용면적 60㎡이하의 소형 주택 매매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도봉구’로 확인됐다. 올해 상반기 도봉구의 주택매매거래량은 1299건이었고, 이 중 전용면적 60㎡이하 소형주택 매매거래량은 1032건으로 소형주택 매매 거래비중이 79.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강서구 전용면적 60㎡이하 매입비중이 79.0%, 구로구 78.5%, 강북구 78.0%, 금천구 77.7%, 은평구 77.0%, 송파구 76.4%, 양천구 75.7%, 마포구 73.3%, 중랑구 73.2% 등으로 집계됐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높은 금리와 대출 이자에 대한 부담감으로 주택 매수심리가 위축됐고 비교적 가격부담이 덜한 소형주택으로 관심이 쏠리고 있다”며 “이 같은 소형주택 시장주도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의 1인가구는 가파르게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서울의 1인가구는 2010년 85만 4606가구(1인가구 비중 24.4%)에서 2015년 111만 5744가구(29.5%)으로 증가했고, 2021년에는 148만 9893가구로 전체의 36.8%가 1인 가구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