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2006년~2022년 1분기 외지인 서울 주택 매입비중 / 자료제공=경제만랩
[한국금융신문 장호성 기자] 올해 1분기(1~3월) 서울 주택 매매거래 10건 중 3건은 외지인이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선 여전히 주택 공급 부족 현상이 해결되지 않았고, 서울 집값은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학습효과로 외지인 주택 매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매매 거래현황을 살펴본 결과, 올해 1분기(1~3월)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 1만 4544건 중 외지인이 매입한 거래량은 4406건으로 외지인 매입비중이 30.3%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1분기 기준) 이래 역대 가장 높은 비중이다.
올해 1분기, 서울에서도 외지인 매입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용산구’로 확인됐다. 올해 1~3월 용산의 주택 매매거래량 282건으로 나타났다. 그 중 외지인이 매입한 거래량은 111건으로 외지인 매입비중이 39.4%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제만랩은 “윤석열 정부가 지난 10일 출범과 동시에 1년간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를 유예하기로 하면서 주택 매물이 늘어나고 있지만, 서울 주택의 똘똘한 한 채의 선호도는 여전해 외지인들의 주택 매입비중 상승세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서울을 거주하지 않는 타 지역거주자와 다주택자들이 외곽 지역의 주택을 처분하고, 고가의 서울 주택 한 채를 택하는 ‘똘똘한 한 채’ 선호현상이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지역간 주택 가격 격차가 벌어지는 양극화도 더욱 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