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0대 대통령선거에서 향후 대한민국의 5년을 이끌어갈 새로운 대통령으로 윤석열닫기

지금까지 대통령들의 집무 및 거주공간이었던 청와대는 방대한 부지에 각 건물들이 산개해있어 대통령을 ‘구중궁궐’ 속에 파묻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문재인 대통령 역시 후보 시절 집무공간을 광화문으로 옮기려는 시도를 했으나, 대통령의 경호 문제나 이전 비용 문제 등이 발목을 잡으며 무위로 돌아갔던 바 있다.
윤석열 캠프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 부지 후보로 정부서울청사·외교부 청사·용산 국방부 청사 등을 물망에 올렸다. 이 중 이전 가능성이 가장 높게 점쳐지는 곳은 용산 국방부 청사로 알려졌다. 국방부 청사는 다른 두 후보지에 비해 주위에 고층건물이 적고,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동 위치도 가까워 대통령과 참모간의 소통 면에서도 유리하다는 것이 이유다. 또 청사에 헬기시설과 지하벙커가 있어 상대적으로 경호에 유리하다는 점도 높게 평가받고 있다.
또 집무실이 국방부 청사에 위치할 경우 대통령 관저는 한남동에 위치한 외교부장관 공관 관저가 유력하게 거론되는데, 이렇게 되면 대통령이 출근하는 과정에서 한남동의 교통 정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미 한남동은 한남대로를 중심으로 매일 수많은 교통정체가 빚어지는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용산 역세권 개발 영향 가능성은 적지만...교통혼잡 가중-청와대 앞 시위행렬 용산 이동 우려도
이처럼 현실적인 제약 외에도, 용산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도 그리 긍정적이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용산은 효창공원앞역 구역을 비롯, 용산 정비창이나 캠프킴 부지 등을 비롯해 수많은 역세권 개발사업이 진행 중인 곳이다. 당장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옮겨오는 것이 서울시의 개발계획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겠지만, 집무실 이전 과정에서 발생할 혼란이 개발계획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은 나온다.
부동산 한 전문가는 “용산 개발은 오세훈닫기

부동산 커뮤니티 여론도 엇갈리고 있다.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을 찬성하는 측은 ‘대통령 집무실이 보다 개방적인 공간으로 나와 소통이 원활해질 수 있다’, ‘대통령 집무실이라는 정치적 상징성 덕분에 인근 부동산에도 좋은 영향이 갈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반면 이전을 반대하는 측은 ‘문화재와 군 시설은 부동산에 있어 악재일 수밖에 없다’, ‘멀쩡한 관저를 놔두고 이를 이전하는 것은 예산 낭비와 지역 혼란을 초래하는 것이다’, ‘아무리 규제완화를 해도 고도제한 등 개발 제한이 우려된다’며 비판적인 의견을 보이고 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