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가계부채 관리 태스크포스(TF)’ 킥오프(출범)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가계부채 관련 리스크 완화를 위한 추가 관리 필요사항에 대해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금융연구원, 시중은행 연구소 등 전문가와 함께 관련 해외사례 조사와 국내 현황파악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한국 가계대출 관행을 글로벌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추가 논의 과제로는 분할상환 관행 확대를 제시했다. 분할상환 이용 차주에 대해 한도를 확대해주거나 금리를 인하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미국과 영국은 거의 모든 가계대출에 분할상환을 적용하고 있다. 호주는 일시상환 비중을 30% 이하로 제한하고 일시상환 대출금리를 0.55%포인트 인상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 내년도 가계부채 증가율이 4~5%대의 안정적인 수준으로 관리되도록 노력하고 금융회사들이 대출 관리체계 내실화를 통해 대출중단 등 실수요자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촘촘하게 관리하기로 했다.
TF는 전세·잔금대출의 차질 없는 공급도 점검하기로 했다. 올해 4분기 전세대출은 총량 관리 한도에서 제외하는 등의 관련 지침이 각 지점에 전파돼 전세대출이 원활하게 공급되는지 협회를 중심으로 모니터링한다. 다만 불요불급한 전세대출이 과도하게 취급되지 않도록 금융권 스스로 꼼꼼하게 대출 심사하는 방안도 지속해서 강구하기로 했다.
TF는 잔금대출과 관련해선 올 4분기 입주사업장 110개에 대한 취급현황 모니터링 범위를 전(全) 금융권으로 확대하고 주 단위로 점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금융사 잔금대출 담당자별 핫라인(Hot-Line)을 구축하고 입주사업장과 금융사 간 일시적인 미스매치가 최소화하게 점검을 지속하기로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가계부채 관리 TF는 1~2주 단위로 개최할 예정”이라며 “세부사항 논의‧점검을 위해 ‘추가 제도정비 TF’, ‘후속조치 이행 TF’ 등 하위 TF를 구성해 수시로 개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