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지주의 상반기 순이익은 총 9조37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7% 늘었다. 5대 금융지주 모두 역대 최대 실적을 냈다. 올 상반기 리딩금융 자리는 2조4743억원의 순이익을 거둔 KB금융이 차지했다. 신한금융은 2조4438억원의 순이익으로 2위에 머물렀다. KB금융의 순이익은 1년 전보다 44.6%, 신한금융은 35.4% 증가했다.
하나금융은 올 상반기 1조7532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전년 동기 대비 30.2% 늘어난 수준이다. 우리금융의 경우 실적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우리금융의 상반기 순이익은 1조4197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4.9% 급증했다. NH농협금융은 40.8% 증가한 1조2819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농업지원 사업비 2230억원을 감안한 순이익은 1조4376억원으로 우리금융을 앞섰다.
5대 금융지주의 역대급 실적은 주력 계열사인 은행 이자이익이 견인했다. 5대 은행의 올 상반기 순이자이익은 총 15조4585억원으로 작년 상반기보다 9.28% 늘었다. 대출 잔액 증가세가 이어진 가운데 시중금리 상승과 저원가성 예금 증대로 순이자마진(NIM)이 개선된 영향이다.
대손충당금 비용 부담이 줄어든 점도 한몫했다.. 금융지주들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비를 위해 선제적인 대손충당금 적립에 나선 바 있다.
금융지주들의 호실적은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기정사실로 하면서 이자이익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성욱 우리금융지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21일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르면 향후 1년간 1750억원가량의 이자수익 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특히 KB금융(4조2896억원)과 신한금융(4조807억원)은 4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됐다. 하나금융은 3조1686억원, 우리금융은 2조3009억원의 순이익을 거둘 전망이다. 농협금융의 연간 순이익을 2조원대 초반으로 가정하면 5대 금융의 합산 순이익은 16조원에 육박하거나 이를 넘길 가능성이 크다. 5대 금융지주는 지난해 총 12조5502억원의 순이익을 낸 바 있다.
금융지주들은 상반기 호실적에 힘입어 중간·분기배당에 나서기로 했다. KB금융과 우리금융은 설립 이래 첫 중간배당을 결정했다. 주당 배당금은 KB금융 750원, 우리금융 150원이다. 2006년부터 중간배당을 해온 하나금융은 올해 작년보다 200원 늘어난 주당 700원의 중간배당을 실시한다.
신한금융은 금융지주사 최초로 분기배당을 추진한다. 6월 말 기준 주주를 대상으로 작년 주당 배당금을 고려해 분기별로 균등한 금액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분기 배당 관련 사항은 다음달 이사회 결의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