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6호 초대형 IB 사업자 경쟁은 신한금융투자와 하나금융투자의 2파전 구도로 진행돼왔다. 하지만 최근 메리츠증권도 초대형 IB 자격 요건인 자기자본 4조원을 충족하면서 ‘3파전 구도’로 새롭게 재편됐다.
하나금융투자의 이번 증자는 초대형 IB 달성을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증자 당시 하나금융투자 측은 “확충된 자본은 IB 경쟁력 강화를 비롯한 디지털 혁신 가속화, 글로벌 채널 확대 등 성장 전략 추진에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초대형 IB가 되기 위해서는 자기자본 4조원 이상 등의 요건을 갖춰야 한다. 현재 초대형 IB로 지정된 증권사는 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등 총 다섯 곳뿐이다.
하나금융투자는 앞서 지난해 말 기준 자본 규모가 4조4000억원을 넘어서면서 초대형 IB 자본요건을 일찍이 충족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 변수가 생기면서 일정에 차질이 생긴 상태다.
신한금융투자 또한 지난 2019년 자기자본 4조원의 요건을 충족함과 동시에 초대형 IB에 대한 진출 의지를 드러냈다. 지난해 말 기준 신한금융투자의 자기자본은 4조3608억원이다.
메리츠증권도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요건을 충족해 초대형 IB 대열 합류를 앞두고 있다.
다만 초대형 IB 진출을 서두르지 않고 차분히 준비하고 있다. 대체 투자, 인수 금융,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본래 가지고 있는 강점을 통해 매년 꾸준한 실적을 내고 있기 때문에 초대형 IB를 굳이 서두르지 않아도 된다는 설명이다.
메리츠증권 관계자는 “초대형 IB 진출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놓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초대형 IB가 되면 발행어음 업무(단기금융업무) 인가를 받을 수 있는 자격 요건을 갖추게 된다. 발행어음 사업은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증권사가 자사 신용으로 자기자본의 최대 2배까지 발행할 수 있는 어음이다.
회사는 발행어음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회사채 등 다른 자금조달 수단과 비교해 발행 절차가 간단하기 때문에 초대형 IB의 핵심 사업으로 꼽힌다. 투자자 입장에선 정기예금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데다 증권사 신용으로 발행되는 만큼 사실상 원리금 손실 위험이 희박하다는 매력이 있다.
최근에는 미래에셋증권이 발행어음 업무 최종 인가를 받으면서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에 이어 4번째로 발행어음업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증권사가 됐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하나·신한·메리츠 세 증권사 모두 적절한 시점을 파악해 초대형 IB 인가 신청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라며 “다만 자기자본 4조원 요건 외에도 리스크 관리와 내부통제 능력 등도 중요하게 평가되기 때문에 누가 6번째 초대형 IB로 지정될지 예측하기는 힘들다”라고 말했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
[관련기사]
- [2021 1분기 실적] 신한금융투자, 1분기 영업이익 2024억원...전년比 249%↑
- [2021 1분기 실적] 하나금융투자, 1분기 순이익 1368억원...전년比 193%↑
- [금융사 2021 1분기 실적] 메리츠증권, 1분기 순이익 2117억원...“분기 사상 최대”
- [투자 2.0 시대 자산관리]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 협업 랩 전진배치
- 신한금융투자, ‘신한알파’ MTS 개선...“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
- 신한금융투자, 코리아크레딧뷰로와 ‘마이데이터 사업’ 업무 협약
- 하나금융투자,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시장 조성자’ 선정
- 하나금융투자, 조직개편 및 인사 단행...“글로벌 사업·ESG 강화”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