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정호닫기



박 사장은 “AI(인공지능)가 회사의 모든 업무와 대고객 서비스 혁신의 기반이 되어야 한다”며 “상황에 따른 고객의 니즈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AI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박 사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홀로 혁신하며 최고가 될 수 없다며, “다양한 영역의 국내외 기업들과 과감하게 협력할 수 있는 개방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밖에도 박 사장은 “자사의 역량을 통해 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자”며 빅테크 기업이 가져야 할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KT는 매년 새해 첫 출근일마다 CEO가 직접 떡 등이 담긴 선물상자를 전달하고, 악수하는 행사를 진행했지만, 올해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를 고려해 비대면으로 행사를 진행했다.
또 “KT는 통신 사업자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 당당하고 단단하게 변화해야 한다”며 디지코로의 전환을 재차 강조하기도 했다.

황 사장은 기존 통신사업은 질적 성장과 동시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컨슈머사업에서는 경쟁력 있는 콘텐츠와 고객의 데이터를 통해 광고·구독형서비스 등 연관사업으로 확장하고, 기업사업에서는 스마트팩토리·자율주행 등의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솔루션을 확보해 사업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황 사장은 무엇보다 고객가치 개선을 최우선으로 두고, LG유플러스의 ‘찐팬(진정한 팬)’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객이 원하는 것을 정교하게 세분화하여 분석하고, 타깃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끄집어낼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며 “고객 중심으로 사고를 전환하지 못해 생겨난 만성적인 페인 포인트(pain point, 불편함)들이 제로(0)가 되도록 전사 역량을 모아 개선해야 한다”고 했다.
또 황 사장은 “영업도 고객가치를 전달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해 가야 한다”며, “가격을 중요하게 소구했던 영업방식과 구조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