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성수닫기

산업은행은 지난 16일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추진을 위해 대한항공 모회사인 한진칼에 제3자 배정 유상증자로 5000억원을 투입하고 3000억원 규모의 교환사채(EB)를 인수하는 등 총 8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은 위원장은 지분 인수 방식을 택한 데 대해 “대출은 이자 부담이 되고 부채비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주식 인수가 재무건전성 측면에서 낫다고 생각했다”며 “대출도 국민 혈세라서 경영진 등이 약속을 잘 지키는지 담보하는 수단이 필요한데 대출로는 담보할 수 없고 직접 주주로 참여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주식으로 참여하는 게 좋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에 직접 지원이 아닌 한진칼을 통해 지원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한항공에 지원하면 한진칼의 대한항공 지분율이 떨어진다”며 “한진칼의 지분율이 20% 미만으로 떨어지면 한진칼이 갖고 있는 대한항공 지분을 팔아야 하기 때문에 모회사 쪽으로 갈 수밖에 없었다. 현실의 벽 때문에 그랬다”고 말했다.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는 상장 자회사의 지분을 20% 이상 보유해야 한다. 현재 한진칼의 대한항공 지분율은 29.27%(보통주 기준)이다.
은 위원장은 ‘한진칼이 경영권 분쟁이 있는 상황에서 양사의 통합을 서두르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과 관련해서는 “누구를 도와주려고 서두르는 것 아니냐는 오해가 만연해서 논의한 결과 현실적으로 당장 아시아나가 자금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아시아나에 자금을 줄 수밖에 없는데 주면 부채비율이 올라가고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기존에 채권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회수할 수 있는 트리거 조항이 있다. 이 자체가 너무 비현실적이고 큰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아시아나가 자금이 당장 필요한데 신용등급이 떨어지기 전에 막아야 더 큰 부담이 없다는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혀서 왜 이렇게 서두르냐는 오해를 받으면서까지 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