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개미' 등 개인투자자들의 주식투자 열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ETF에서도 기존 운용사와 후발 운용사가 앞다퉈 수수료 인하로 대응하고 있다.
사실 앞서 한투운용은 ETF 총보수 인하 경쟁 방아쇠를 처음으로 당긴 바 있다. 지난 8월 S&P500 ETF에 이어 지난 10월 말 나스닥100 ETF의 총 보수율을 당시 업계 최저수준(0.09%)으로 내걸었다.
KB자산운용이 1주일여 만인 이달 6일 신규 상장한 'KBSTAR미국나스닥100 ETF'에 0.07% 보수율을 매기면서 경쟁에 기름을 부었다.

특히 최근에는 나스닥에 주로 상장된 미국 대형 성장주가 세계 증시 강세를 선도하면서 개인투자자 관심이 미국 주식 인덱스 ETF로 집중되고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낮은 보수를 찾아 글로벌 ETF를 직구했던 투자자들이 국내 쪽으로 눈을 돌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제시했다.
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운용사들의 수수료 경쟁은 'BBIG(배터리·바이오·인터넷·게임)' 관련 민간 뉴딜 ETF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 10일 상장된 'FnGuide K-뉴딜 디지털플러스 ETF' 중 삼성운용과 KB운용 K-뉴딜 ETF는 총보수가 0.09%로 설정됐다. 앞서 미래에셋운용이 10월에 출시한 국내 첫 K-뉴딜 ETF인 'TIGER KRX K-뉴딜 ETF 시리즈(0.4%)'보다 총보수가 0.31%P(포인트) 낮다.
다만 최저보수 경쟁은 마케팅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시각이 중론이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일반 투자자의 경우 총보수 인하가 실질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수 있다"며 "그럼에도 투자자들의 수수료 민감도는 높은 편이기 때문에 업계에서도 일부 출혈이라도 보수 인하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제시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