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몽규 회장, 6일 입장 발표
HDC현산 측은 “매도인 측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통해 HDC현대산업개발의 재실사 제안을 전면 거부하고 거래무산의 책임을 HDC현산에 전가했다”며 “HDC현산은 2019년 12월 27일 인수계약을 체결한 이래 약 8개월 동안 기업결합 신고, 인수자금 조달 등 인수절차에 만전을 기해 왔음에도, 매도인 측이 계약 불이행의 책임을 인수인에 돌린 것에 큰 실망감을 나타냈다”고 강조했다.
이어 “매도인 측의 진의를 의심할 수밖에 없으며 현재 아시아나항공의 위기가 매도인인 금호산업의 부실경영과 계약 불이행으로 초래된 것이 명백한 상황에서 아시아나항공의 정상화는 외면한 채 부실경영에 대한 책임을 면하는 데만 애를 쓰고 있다”며 “이에 따라 매도인 측이 HDC현산에 책임을 전가하는 상황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할 수밖에 없으며, 거래가 종결되지 않은 책임은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에 있다”고 덧붙였다.
정 회장은 최근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신중하게 된 이유는 ‘기업가치 훼손’ 행위가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HDC현산은 “아시아나항공은 인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기업가치를 훼손시키는 행위가 지속됐다”며 “재무구조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1조7000억원이라는 대규모 차입 결정과 경영권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CB 발행을 계약상 요구되는 인수인의 동의 없이 진행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아시아나항공의 재무 건전성은 매우 심각하다. 아시아나항공 올해 1분기 부채비율은 1만6833.07%다. 자본총계 규모는 709억원인 반면 부채총계는 11조9701억원으로 금융부채가 전체의 70%를 차지한다. 해당 기간 아시아나항공 금융 부채 규모는 8조3822억원에 달한다.
아시아나항공의 재무 건전성은 2017년 이후 꾸준히 악화됐다. 2017년 720.25%였던 부채비율은 2018년 814.81%, 지난해 1795.22%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올해의 경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촉발된 ‘C-쇼크’에 따라 어려움이 가중됐다는 설명이 가능하지만, 그동안의 행보를 보면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대한 정 회장의 재무 부담이 커졌다는 해석을 할 수 있다.

◇ 이동걸·박세창, 비판적 입장 발표
정 회장의 이날 입장 발표는 최근 이동걸 산은 회장과 박세창 아시아나IDT 사장이 그에게 관련 M&A에 대한 비판적 의견을 내비쳐서다. 이동걸 산은 회장은 지난 3일 온라인 현안 브리핑을 열고 “아시아나항공 매각 무산 시 모든 책임은 HDC현대산업개발에 있다”며 “HDC현산이 보도자료를 통해 내세운 주장은 상당 부분 근거가 없고, 악의적으로 왜곡된 측면이 있고, 쓸데없는 공방을 마무리 짓고 계약을 종결지을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제 더 결정을 미룰 수가 없는 결단의 시점이 왔다”며 “금호는 신의성실 원칙에 따라 최선을 다했고 계약이 무산된다면 원인 제공은 HDC현산이 계약금 반환소송을 제기하지는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 회장의 발언은 HDC현산이 대면 협상에 응하지 않은 채 아시아나항공 12주 재 실사를 요구한 것을 사실상 ‘인수 포기’ 행보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박세창 사장 측도 지난달 30일 HDC현산에 대해 불편한 감정을 그대로 드러냈다. 이날 성명서를 통해 금호산업은 “HDC현산이 아시아나항공 거래 종결을 회피하면서 그 책임을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에 전가하고 있는 점 등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며 "HDC현산은 진정성 있는 자세로 거래 종결을 위한 절차에 협조해 줄 것을 거듭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HDC현산은 계약체결 이래 현재까지 7개월 동안 대규모 인수단을 파견해 아시아나항공 및 그 자회사들에 대한 모든 중요한 영업 및 재무 정보를 제공받아 인수실사 및 PMI(PMI: Post-Merger Integration) 작업을 진행했고, 아시아나항공은 경영상의 부담을 감수하면서 이에 필요한 모든 협조를 제공했다”며 “이는 국내 M&A 역사상 전례 없는 수준으로서 HDC현대산업개발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미 아시아나항공 및 그 자회사들의 영업 및 재무상태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충분한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처럼 사실을 왜곡하는 것은 지극히 유감”이라고 덧붙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관련기사]
- [아시아나항공 매각] 노딜 가능성 급상승…금호가-산은 M&A 악연 이어지나
- [아시아나항공 매각] 매각 공고 선언 1년…금호 오너 3세 박세창, 그룹 재건 행보에 관심
- [아시아나항공 매각] 노딜 가능성 상승…‘모빌리티그룹’ 도약 선언 정몽규, 신중론 이유는?
- [아시아나항공 매각] 매각 공고 1년…배수의 진 이동걸 vs 신중한 정몽규
- 정몽규·박세창, 아시아나항공 인수 놓고 공방전
- 은성수 "아시아나항공, 기안기금 지원요건은 해당"
- 아시아나항공, 13·15일 '현대 베트남조선' 선원 70명 현지 수송 예정
- 이동걸-정몽규 전격 회동…아시아나항공 논의
- 아시아나항공, 전세기로 베트남 나트랑 하늘길 다시 열다
- 아시아나항공 채권단 "현산, 요구사항 직접 협상테이블로"…기싸움 예고(종합)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