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IoT 등 ICT기술을 접목한 선박운전최적화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존보다 10% 이상 연료비 절감 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이어 최적의 연비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찾아 운항 중인 선박에 명령을 내리는 것이 특징이다.
HiEMS는 운항 중인 선박 내 기자재의 가동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최적의 경제운전을 지원한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8년 HiEMS를 개발한 이후 지금까지 엔진 170여기의 45척 분을 수주해 이 중 엔진 40여기의 10척 분을 인도한 바 있다.
또한 현대중공업은 현대글로벌서비스에 위치한 디지털관제센터에서 원격 모니터링을 비롯해 부품·정비와 연계된 예방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스마트 엔진사업에서 새로운 활로를 찾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발맞춰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선박 고도화를 통해 중국과 일본 조선업계의 거센 추격을 따돌릴 기술우위를 지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지금까지 총 130여척 분의 통합 스마트십 솔루션(ISS)을 수주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