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추혜션 정의당 의원은 “유사한 사례에 대해 분조위가 서로 다른 판단을 내리며 혼란을 키워 왔다"고 지적하며, "입원치료 기준을 명확히 하지 않은 보험약관은 보험사의 책임이 크기 때문에 암환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대해 암환자들은 “암이 완치되기 이전에 치료한 것이니 치료가 끝난 후에 남아있는 후유증이 아니라 암치료 과정에서 동반되는 부작용을 치료한 것”이라는 주장으로 이를 반박했다.
반면 나머지 한 건의 조정에서 금감원 분조위는 ‘다음 번 항암치료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입원치료였다’는 이유로 요양병원 입원비 지급을 권고했다.
추혜선 의원은 이와 관해 "합병증에 대한 수술치료는 보험금을 지급하고 입원치료는 보험금 지급하지 않는다는 것도 형평에 맞지 않다"고 지적하는 한편, "이렇게 본다면 금감원이 지급 권고를 내리지 않은 건에 대해서도 재검토해서 보험금 지급을 권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느냐"고 꼬집었다.
더 나아가 추 의원은 "금감원이 지난해 9월 27일 암 보험금 약관 개선안을 발표하며 암보험금 지급 대상이 되는 '암의 직접치료'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의했던 것은, 그 이전까지 보험약관에 대한 해석이 분분했다는 의미"라며, "입원치료 기준을 명확히 하지 않은 보험약관은 보험사의 책임이 크기 때문에 암환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지적에 윤석헌닫기

[관련기사]
- 암보험금 미지급 분쟁 평행선, “약관대로 지급해야” vs “과거보다 약관 복잡해져”
- [2019 국감] 김동성 금감원 부원장보 "하나은행 금감원 합동검사 전 고의로 DLF 현황자료 삭제"
- [2019 국감] 무해지종신보험 불완전판매, ‘제 2의 DLF사태’ 우려…윤석헌 “살펴보겠다”
- [2019 국감] 은성수 "은행권 '리콜제' 도입 바람직하다고 생각"
- [2019 국감] 한상혁 방통위원장 “LG유플-CJ헬로 M&A도 방통위 사전동의 절차 필요하다 생각”
- [2019 국감] 윤석헌 금감원장 "DLF 사태 금융사 책임이 더 커…상품 일종의 겜블 만든 것"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