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현대차 노조는 지난 24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고 만장일치로 쟁의발생을 결의했다. 같은날 기아차 노조 역시 만장일치로 통과시키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했다.
올해도 현대기아차가 사실상 파업 국면으로 치닫으면서 차량 생산과 손실에 따른 시장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대기아차가 상반기 호실적을 거뒀지만, 글로벌 자동차 시장 둔화와 완성차 업체간 경쟁 심화에 따라 하반기 실적은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현대차 기아차 노사는 올해 최대 65세 정년연장이 핵심쟁점이 되고 있다.
2022년부터 현대차에서는 국내 공장 생산직 직원의 정년퇴직이 매년 2500명 가량 예정됐다. 업계에서는 사측이 정년연장만큼은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강하다. 자동차산업 변화에 따라 필요한 구조조정과 급여축소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