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와 4차산업혁명 세미나'(24일 오후 1시~오후 3시)에서는 금융규제 샌드박스, 마이데이터, 오픈뱅킹, AI(인공지능), 클라우드, 블록체인, 5G, 간편결제 등 ICT(정보통신기술)관련 기술의 발전이 금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한다. 금융위원회 권대영 금융혁신기획단장의 '핀테크와 금융혁신' 발표에 이어 데이터 분석(호주 Hyper Anna), 클라우드(네이버, 코스콤), 블록체인(아이콘루프), 5G(삼성전자), 간편결제(SK) 발표를 차례로 들을 수 있다.
특히 보험·자본시장 등 분야의 경우 핀테크 활성화를 가로막는 규제 해소 방안이 집중 논의된다.
'인슈어테크 세미나'(24일 오후 3시~오후 4시30분)에서는 빅데이터 및 신용정보 등 관련된 규제와 해결을 위한 정책적 대안, 해외 사례 등이 다뤄진다. 핀테크 업계에서 명기준 디레몬 대표가 발표에 나서고, 금융업계에서 최용민 한화손해보험 상무가 토론에 임한다.
마지막으로 '자본시장과 핀테크 세미나'(24일 오후 4시30분~오후 6시)는 로보어드바이저, AI 등 핀테크 기술을 활용한 자본시장의 변화와 발전방향을 다룬다.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이 자본시장과 핀테크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고, 김남영 미래에셋대우 디지털금융부문 대표, 정인영 디셈버앤컴퍼니 대표 등이 금투, 자산운용업계 사례를 전한다.
한편, 올해 1회를 맞이한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19'는 5월 23일부터 25일까지 사흘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된다. 금융그룹과 핀테크 기업 등 총 52개 전시부스가 설치되며 글로벌 핀테크 정책·동향 세미나부터 핀테크 기업 투자데이, 채용 설명회와 멘토링, 세대별 맞춤형 핀테크 체험교육 등이 준비돼 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