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대표는 21일 오후 2시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2019 한국금융미래포럼’ 주제강연에서 “소비자 맞춤 종합 개인 금융 서비스인 오픈뱅킹이 활성화됨과 동시에 모바일 월렛과 개인 데이터 종합 자산관리의 두 가지 플랫폼이 생겨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오픈뱅킹은 전통적인 금융지주가 라이선스를 가진 것을 넘어서 많은 고객 접점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오픈뱅킹이 활성화되면서 금융회사의 맞춤형 상품제공 능력, 즉 개인종합 자산관리 서비스(PFM)와 디지털 시너지가 중요한 디지털 접점관리의 역량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마이데이터가 가진 잠재력과 금융의 전문성을 융합해 새로운 금융을 만들어나가야 한다”며 “무엇보다도 카드 심사 문제 등을 충분히 금융회사와 제휴를 통해 발전시켜 금융의 모든 프로세스를 마이데이터의 경험을 통해 자동화·세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마지막으로 “오픈 뱅킹은 글로벌 금융 수출의 새로운 기회”라고 강조했다.
그는 단계적으로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연결을 통해 마이데이터와 금융사 간의 협업모델 도출 △데이터 인증·표준화 등 글로벌 스탠더드 연구 및 실험 △오픈 뱅킹 생태계 열리는 아시아 시장 진출 △금융사와 시너지 내면서 확장 등을 제시했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