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여름을 덮친 기상관측 이래 최악의 폭염과 태풍 ‘솔릭’ 등 환경적 요인에서부터,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와 최저임금·정비수가 상승 등 사회적 요인까지 겹치며 7000억 원 이상의 적자로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던 자동차보험이 올해 역시도 험난한 시작을 보였다.
겨울철은 도로 결빙이나 추위로 인한 자동차 고장으로 매년 손해율이 높아지는 시기다. 그러나 이를 감안하더라도 손보업계는 자동차보험에 ‘인상요인이 산적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먼저 육체노동자의 노동연한을 기존 60세에서 65세로 올린다는 대법원 판결에 따라 금융당국 역시 관련 내용을 검토 중인 상태다. 여기에 최근 복지부가 한방 추나요법을 급여화하는 등 건강보험 보장성도 날로 늘어가고 있다.
올해 초 보험사들은 일제히 개인용 기준 자동차 보험료를 3.2%가량 인상했다. 그러나 이번 인상은 정비수가 인상분만이 반영됐으며, 손해율이나 노동연한 확대 등의 요인이 반영되지 않아 현저하게 불충분하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물가지수에 반영되는 자동차보험은 다른 상품에 비해 당국의 인상 억제가 심한 편”이라며, “자동차보험에서 적자가 심해지면 다른 상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해 차보험료 추가 인상을 진지하게 논의해봐야 한다”는 생각을 밝혔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