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최근 신창재닫기

노조 측은 “교보생명은 우리 조합원의 꿈과 비전을 실천한 일터이자, 우리 가족의 생존이 달려있는 중요한 경제적 토대”라며, “정도경영, 투명경영으로 보험업계를 선도해온 교보생명을 백척간두의 위기로 몰아넣고 그 대가로 얼토당토 않게 뻥튀기한 가격으로 되사라는 것은 자신들의 배만 불리려는 탐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노조 측은 “오래 전부터 회사 특정 조직의 정보독점과 권력남용이 있어 왔고, 특히 주주관리와 자본확충에 대한 부풀리기로 상품과 영업, 지원조직을 흔들고 예산 집중화, 줄세우기 등 조직의 분란을 일으키더니 끝내 대형사고를 쳐버렸다”며, “신 국제회계기준이나 신지급여력제도가 도입되면 수십조원의 자본이 필요하다며 과대한 부풀리기를 일삼고 이를 통해 최고경영층을 압박하여 직할조직을 비대화하고 회사 전체를 흔들어 왔다”고 꼬집기도 했다.
나아가 “상기 요구사항에 대해 회사 차원의 경영감사를 제안하며 그 결과를 노동조합에 조혹히 통보해 줄 것을 정식으로 요청한다”고 역설했다.
한편 이번 신창재 회장과 FI간의 갈등의 핵심은 교보생명의 ‘시장가치’에 대한 입장차다. FI들은 풋옵션 가격을 1주당 40만9000원으로 제시한 반면, 신 회장 측은 생명보험 시장의 불황으로 가치가 떨어져 1주당 20만 원 중반대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 경우 양 측의 풋옵션 가치가 8000억 원이나 차이가 나게 된다. 만약 FI들의 요청대로 중재가 이뤄질 경우, 중재원의 중재 역시 이 부분에 대한 감사가 핵심이 될 전망이다.
신 회장 측은 그동안 교보생명이 IPO 약속을 지키지 못하게 된 것은 최대주주이자 CEO로서 당면한 자본확충 이슈가 회사의 운명을 가를 수 있을 만큼 큰 위기라는 인식 속에 교보의 미래를 위한 ‘불가피한 상황대응’이었다고 해명했다. 신 회장 측은 "상황대응 부분에 대해서는 대주주인 FI들도 충분히 알고 있었던 만큼 중재신청 재고의 여지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신 회장은 “재무적 투자자들도 교보의 대주주들이시니 이 점을 재고하여 다시 한번 진지하게 협상에 임해줄 것을 간곡히 당부드린다”고 전한 것으로 전해졌다.
끝으로 이번 중재신청 예고에 대해 신 회장 측은 "중재신청을 했어도 언제든 철회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으며, 중재신청이 철회되지 않더라도 별도 협상의 문은 열려 있고 파국을 막기 위한 협상은 마땅히 계속되어야 한다"는 점도 포함됐다. 신 회장으로서는 교보의 대주주인 재무적 투자자의 넓은 이해와 현명한 판단을 기대하는 모습이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