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일부 매체는 신창재 회장과 FI간의 협상과정에 대해 공동매각이 검토되고 있으며, 이미 이들이 KB와 하나금융지주를 비롯한 대부분의 인수 후보와 접촉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교보생명 측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며 손사래를 쳤다.
신창재 회장과 FI들의 갈등은 어제오늘 일만은 아니다. 교보생명은 지난 2012년 지분 24%를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와 IMM PE, 베어링PE, 싱가포르투자청 등에 1조2054억 원에 매각하며 2015년 9월까지 상장하겠다는 약속을 했다. 상장이 불발될 경우를 대비해 FI들의 지분을 신 회장에게 되팔 수 있는 풋옵션 계약도 맺었다.
그러나 당초 2015년에 이행되기로 했던 교보생명의 IPO는 보험업 환경 악화 및 시장 포화 등의 원인으로 수 년 째 미뤄져왔다. 이번에 FI들이 강경하게 손배 재판을 검토하고 있는 것은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많다.
한편 교보생명은 FI 측과의 협상 결과와 무관하게 IPO를 추진한다는 방침을 가져가고 있다. 교보생명은 4~5월께 한국거래소에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하고, 6~7월께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앞서 신 회장 역시 “IPO 추진은 ‘제2의 창사’와 같은 만큼 이해관계자 경영을 선도하는 금융회사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교보생명의 IPO는 오는 2022년 도입될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에 대비해 투자자를 유치함으로써 자본확충을 수월하게 해줄 최적의 카드라는 분석이 나온다. 생명보험업계 3위에 해당하는 자산규모와 우수한 영업력 등을 고려할 때, 교보생명이 보험업계 IPO 매물 가운데 가장 큰 관심을 모을 것이라는 시장 관측도 많다.
이 밖에 교보생명은 7일 인사를 통해 교보생명이 윤열현 현 상임고문을 사장직에 선임했다. 교보생명의 ‘사장’직 선임은 신용길닫기

그간 신창재 회장 원톱 체제로 운영되던 교보생명이 윤열현 사장을 새롭게 선임한 것을 두고 업계에서는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최근 신창재 회장이 재무적투자자(FI)들과의 갈등에 휘말리면서, 교보생명이 신 회장을 대신해 회사 업무 전반에 집중할 수 있는 경영인을 필요로 했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