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과 보험사가 상호 제휴를 맺어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방카슈랑스’ 영업은 이미 수많은 보험사들이 진출한 레드오션이다.
예를 들어 신한생명과 제휴를 맺은 치과 사업자의 경우, 치과 경영과 동시에 보험 영업으로 투자비용 없이도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식이다. 여기에 신한생명 소호 본부의 설계사 조직을 통해 병원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신한생명은 2016년 대한성형외과의사회, 서울하이안치과 네트워크, 2017년 전남대, 연세대 치과 총동창회 등과 소호슈랑스 제휴를 맺은 것은 물론 올해에도 전북대 치과대학 총동창회, 한국관세물류협회 부산협회 등과 잇따라 제휴를 맺으며 점차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소호슈랑스 채널은 IFRS17 도입 전 신채널 발굴로 영업력을 높여야 하는 상황에서 신한생명에도 큰 도움이 되는 동시에, 사업자들에게는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되어 ‘윈윈’ 전략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소호슈랑스 채널은 ‘부업’의 차원으로 보험 판매가 이뤄지면서, 계약 관리에 소홀할 수 있어 불완전판매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신한생명은 소호채널 본부를 운영하며 소호슈랑스 사업자들을 위한 정기적인 상품교육과 판매 프로세스 교육은 물론, 필요시에는 각 실장들이 소호사업자들의 완전판매를 지원하고 있다.
신한생명 관계자는 “소호슈랑스는 실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채널이므로, 회사 측에서도 큰 이익보다 틈새시장 공략에 초점을 맞추고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