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부는 26일 “10년 공공임대 분양 전환과 관련해 종합적인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연내 확정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임대 기간 연장 등의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지난 6월 입장과 같다.
국토부가 10년 공공임대 분양 종합 지원을 발표함에 따라 해당 입주민과 갈등을 빚고 있는 분양가 책정 개선안이 해당 대책에 포함될지 관심이 쏠린다. 현재 10년 공공임대 분양 전환 시 주변 민간 단지 2곳의 감정평가를 진행한 뒤 그 평균치를 분양가로 책정해왔다.
입주민들은 주변 시세를 통해 분양가를 책정하는 방식이 ‘서민 주거 안정’을 추구하는 해당 아파트 취지와 어긋난다며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2009년 입주 당시 시세와 현재 시세가 분양가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의견이다.
그는 이어 “현재 분양가 책정 방법은 ‘서민 주거 안정’이라는 10년 분양 전환 공공임대 제도 도입 취지에 어긋난다”며 “개선안을 당장 내놓을 수 없다면 차라리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해 시세 급등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국토부는 지난 6월 분양가 책정 방식 개선에 대해서 부정적 생각을 나타냈다. 분양전환가격 책정은 소급 적용해 변경하기 어렵다는 견해다. 입주자모집 공고문에 명시됐고, 임대사업자와 임차인 간 체결된 임대차계약서상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국토부가 10년 공공임대 분양 아파트에 대한 종합 지원 대책을 연내 발표하는 만큼, 가장 큰 쟁점인 분양가 책정 방식 개선이 이뤄질지 이목이 쏠린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