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렬 연구원은 “담보인정비율(LTV) 및 총부채상환비율(DTI) 강화를 통해 투기지역 중심으로 급격히 대출한도를 줄였음에도 부동산 가격이 상승한 이유로 정부는 임대사업자 대출 등 우회적인 대출 경로를 들었고 이를 차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세대출 강화는 일시적 이주 수요에 영향을 준다”며 “재건축∙재개발 과정의 이주, 기존 주택 보유자의 일시적 임대 수요 등의 경우 부부 합산 소득이 1억원 이상이면 전세대출을 받기 어려워지는데 이 때문에 반전세 또는 월세 형태의 거주수요가 커질 수 있다”고 관측했다.
박 연구원은 “작년 이후 정책은 수요자 매수심리 억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기에 별다른 내용이 없더라도 당위적인 내용 중심으로 부동산을 자주 언급하고 LTV∙DTI 중심으로 대출을 제한했다”며 “정책이 유도한대로 대출이 억제돼 수요가 줄었고 양도세 중과 등 과정에 공급도 줄었다”고 조명했다.
이어 “과거 부동산시장에서 레버리지를 어떻게 극대화할지가 중요했다면 이제는 한정된 레버리지를 어떻게 사용할지가 중요하다”며 “무주택자는 단 한번의 레버리지 기회를 고민해서 사용해야 하며 다주택자는 레버리지 없이 현금범위에서 투자할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시장에선 구매력이 작아진 데 따라 가성비를 찾게 될 것이고 분양시장 외 기존주택 매매시장은 둔화할 것”이라며 “가격 상승을 주도했던 서울에서도 거점 구역 신규 아파트 또는 신규 개발허가를 받은 아파트 중심으로만 가격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다만 수도권에서 투자수요 감소 우려로 신규분양 계획을 재점검하거나 연기해야 할 수도 있는 만큼 수도권 공급 감소 가능성은 존재한다”며 “대형 건설사는 이주계획이 이미 잡혀 있는 재건축∙재개발 중심으로 분양구조가 변하고 있어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김수정 기자 sujk@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