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 정부가 대통령 공약대로 '2020년 시급 1만원'을 강행하면 고용이 줄고 임금 질서가 교란돼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많다는 이유에서다.
국책연구기관이 최저임금 속도조절론을 꺼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는 "최저임금의 급속한 인상이 계속되면 최저임금 인근에 밀집된 임금근로자 비중은 급속히 증가한다"고 평가했다. 예를 들어 "최저임금 120% 미만의 비중은 2017년 9%에서 2018년 17%, 2019년 19%, 2020년에는 28%로 상승한다"는 것이다.
프랑스의 경험에 의한 사례도 짚었다. 보고서는 "최저임금이 크게 높아지면 고용감소 외 임금질서 교란 등 최저임금의 순기능보다 부작용이 더욱 커질 수 있으며, 프랑스에서도 이러한 이유로 최저임금 인상을 60% 수준에서 멈추었다"고 소개했다.
득보다 실이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보고서 결론이다. 보고서는 "서비스업 저임금 단순노동 일자리가 줄어 들어 단순기능 근로자의 취업이 어려워진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소득주도 성장 정책의 핵심으로 최저임금 인상을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 국책연구기관까지 속도조절론 경고에 나서면서 최저임금을 둘러싼 논란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