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일·상업' 계파로 나뉜 조직을 추스려서 채용비리로 추락한 이미지 회복에 나서야 하고, 완전 민영화, 지주사 전환 등 미뤄진 과제도 정부, 과점주주와 함께 추진해 나가야 한다.
손태승 내정자는 1959년 광주 출생으로 전주고, 성균관대 법학과를 나와 1987년에 한일은행으로 입행했다. 전략기획부장, 우리금융지주 상무, 글로벌사업본부 부행장 등을 거쳐 영업, 전략, 글로벌 등 다양한 업무를 경험했다.
차기 행장으로 낙점된 손태승 내정자는 일단 조직을 추스러 경영 정상화를 회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손태승 내정자의 차기 행장 낙점은 일단 그간 제기됐던 외풍 우려를 잠재우고 경영 연속성을 잇게 됐다고 평가할 수 있다.
조직 내 여전히 잔존한 '계파' 갈등도 이번을 기회로 해소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채용 시스템을 정착시켜야 하는 과제도 있다.
우리은행은 1998년 한일은행과 상업은행이 대등 합병된 뒤 관행적으로 두 은행 출신이 번갈아 행장을 맡아 왔고 임원도 동수로 구성하는 원칙을 지켜왔다. 하지만 행내에서도 이같은 동수 원칙이 오히려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손태승 내정자는 은행 안에서 특정 계파에 치우치지 않는 인사로 평가돼 왔던 만큼 기대해봐야 할 부분이다.
우리은행은 과점주주 지분 매각 방식으로 민영화를 달성했지만, 현재 여전히 우리은행 최대 주주는 예금보험공사(18.52%)다. 예보가 보유한 지분을 추가 매각하기 위해서는 우리은행이 좋은 실적을 내고 주가를 올려 기업가치를 높여야 한다.
지주사 전환에 대한 논의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 우리은행은 우리금융지주 체제였지만 증권사, 보험사, 지방은행 등의 계열사를 매각하고 현재는 자회사로 우리카드, 우리종합금융이 남아 있는 상태다.
이같은 과제들은 정부, 과점주주와 함께 조율해야 할 부분인 만큼 영업, 전략, 글로벌 등 다양한 업무를 경험한 손태승 내정자의 역량에 달려 있다. 손태승 내정자는 차기 행장으로 낙점된 뒤 "2020년에는 대한민국 1등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우리은행은 내달 22일 열리는 임시 주주총회에서 손태승 내정자를 51대 우리은행장으로 선임하는 안건을 의결할 예정이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