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2021 한국금융미래포럼 : 포스트 코로나 지속경영 ESG에서 답을 찾다’에서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SV위원장은 ESG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올해 6회째를 맞은 한국금융미래포럼은 모호한 ESG 개념과 기준에 혼란을 겪고 있는 일반 기업과 금융권에 해법을 제시하며 길잡이 역할을 했다. 기업과 금융사 실무자뿐 아니라 기관투자자 등이 온라인으로 참가해 성황을 이뤘다.
이번 포럼은 최근 기업의 생존을 위한 필수요소로 자리 잡은 ESG의 실체를 조명하고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장이 됐다.
기조 강연을 맡은 이 위원장은 “기업의 사업모델 자체가 미래지향적으로 바뀌고 있는지, 기업 직원과 협력사를 대하는 기본적인 자세가 잘 돼 있는지, 투자자에게 이익분배를 해줄 수 있는지를 가릴 수 있는 것이 ESG”라며 “더 집약적으로 ESG 전반에 대해 고민하고 방법을 생각해야한다”고 말했다.
첫 주제 발제를 맡은 윤진수 기업지배구조원 사업본부장은 기업 ESG 평가등급의 핵심 요소를 소개하고 “기업은 주요 투자자들이 누군지, 그 투자자들이 주요하게 바라보는 ESG 이슈는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하고 이슈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관을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원종현 국민연금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 위원장은 ESG를 “기업의 대응과제인 한편 기업과 국민연금의 상호 견제이자 대립”이라고 진단하고 “ESG 이슈에 대한 기업과의 대화를 통해 장기적 수익을 강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송병운 에프앤가이드 ESG센터장은 “ESG 경영은 생존을 위한 변화”라며 “단순히 법적인 부분만 지키는 소극적인 것이 아니라 전향적인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의 주재로 ESG 경영 성공을 위한 제도 개선과 기업의 과제’에 대한 패널토론이 펼쳐졌다. 패널로 참가한 이세훈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은 “ESG가 기업가치에 어떻게 정확하게 반영되게 할 것인지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역할이 중요하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금융권의 ESG 인식을 제고하고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맞춰 유튜브로 생중계됐다. 한국금융신문 유튜브 채널에서 다시 보기를 통해 알찬 포럼 내용을 시청할 수 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