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운용은 20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오는 21일 상장하는 ‘KODEX 코리아소버린AI’ ETF 관련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GPU(그래픽처리장치) 확보, 데이터센터 건설 등 대규모 자금이 필요해 그동안 AI 산업 성장에 걸림돌이 됐던 요소들이, 정부 주도의 소버린 AI 프로젝트를 통해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버린 AI에 참여하는 기업도 공공데이터 확보, 국가 클라우드 사업, 인재 지원 등 정책 수혜로 AI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박명제 삼성운용 ETF사업부문장(부사장)은 “KODEX를 믿고 투자해주신 고객 덕분에 2002년 국내 최초의 ETF인 KODEX 200을 내놓은 이후 23년 만에 업계 최초로 순자산 100조원을 달성했다”며 “업계 1위 운용사로서 이번 순자산 100조원 달성을 발판삼아 앞으로도 혁신적인 투자 상품들로 대한민국 자본시장의 성장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KODEX 코리아소버린AI’는 대한민국 정부가 주도하는 ‘소버린 AI’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이른바 국가대표 AI 밸류체인 기업들에 한번에 투자할 수 있는 ETF로, 기초지수는 한국거래소가 산출한 'KRX코리아소버린AI 지수'다.
정부의 ‘독자 AI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컨소시엄에 참여한 상장사를 포함해, AI반도체,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에너지까지 전체 AI 밸류체인으로 투자 범위를 확대했다. 네이버, LG CNS, SK하이닉스, 두산에너빌리티 등이 편입된다.

또, 토론자로 참여한 정주환 네이버클라우드 AX Lab 이사는 "네이버는 LLM(대규모언어모델)을 잘 만들어낸 경험 등이 있고, AI 모델 핵심인 데이터도 데이터센터 운영으로 경쟁력이 크다"며 "앞으로는 옴니 모델의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 이사는 "AI 활용처가 실생활과 피지컬 AI까지 넘어가는 상황에서 물리적 데이터가 잘 확보돼야 하는데, 로컬 기업이 큰 장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삼성운용은 한국 정부가 국가주도 프로젝트로 국민성장 펀드 조성 등을 통해 AI 주권 확보를 위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임 본부장은 “국가 주도의 소버린 AI는 이미 시작된 세계적 흐름으로, 코스피 5000 시대를 이끌 핵심 섹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한국 맞춤형 AI 시장의 성장성에 발빠르게 투자하려는 투자자들은 KODEX 코리아소버린AI를 통해 새로운 투자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