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오전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강선영 국민의힘 의원은 "KDDX 사업 관리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강 의원은 "KDDX 사업은 2036년까지 약 7조500억 원이 투입되는 대형 사업인데 2022년 1심 판결을 기준으로 3년 간 보안 감점 처리한 뒤, 그해 12월 2심 유죄 판결 이후 1년 9개월 동안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며 "언론과 국회가 문제를 제기하자 뒤늦게 법률 검토를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검토가 늦어졌다는 것에 동의하냐는 물음에 석 청장은 "네"라고 답했다.
강 의원은 이어 "보안 감점을 1년 연장하겠다고 했다가 다시 '종합 검토 후 결정하겠다'고 입장을 바꿨다"며 "이렇게 원칙이 흔들리면 방사청이 혼란을 부추기고, 결국 2036년 전력화가 늦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석 청장은 "공정성에 의심이 없어야 하는데 미진한 부분이 있었다"며 "사업관리를 보다 면밀히 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지금의 관점에서 해결하려 보니 문제가 생겼는데, 방사청이 좀 더 세밀하게 사업을 추진할 필요성을 느꼈다"며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석 청장은 "의사결정과 방안 수립 과정에서 법적·행정적 판단을 기초로 규정과 절차에 따라 진행하고 있다"며 "수의계약 문제 역시 사업 추진 전략상 기본설계를 수행한 업체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상세설계도 맡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제는 '특별한 사유'가 무엇이냐인데, 군기법 위반이나 복수 방산업체 선정이 그 사유에 해당하는지 검토한 결과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석 청장은 "분과에서 점검 결과를 보고하라는 의견이 있어 국방부와 함께 이행 결과를 보고했다"며 "보안 감점 문제는 수의계약 여부와는 달리 계약 평가 과정 중 하나의 요소"라고 해명했다.
그는 "어느 특정 업체에 편향되지 않았다"며 "양쪽 업체가 제시하는 능력을 기초로 원칙대로 판단한다"며 "그 부분만큼은 철저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신혜주 한국금융신문 기자 hjs0509@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