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모빌리티와 HL로보틱스는 충북도청, 충북과학기술혁신원과의 협력을 통해 충북 청주시 충북콘텐츠기업지원센터 지하 주차장 내에 로봇 주차 설비를 설치하고 누구나 로봇발레 주차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구현했다.
이번 사업에서 카카오모빌리티는 플랫폼 역량을 바탕으로, 주차로봇을 누구나 이용 가능한 실제 로봇발레 서비스로 구현하는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차량 주차를 원하는 주차장 이용객은 차량 번호판을 인식시킨 뒤 로봇발레 서비스 구역에 진입해 그대로 직진, 노란 선으로 표시된 주차장 가운데 위치에 차량을 정지시킨 뒤 시동을 끄고 나오면 된다. 이후 키오스크 조작을 통해 입차 신청을 완료하면, HL로보틱스의 주차로봇 ‘파키(Parkie)’가 움직여 차량을 들어올려 실제 주차구역으로 운반한다.
출차도 간편하다. 입차 시 카카오톡 알림톡을 통해 전달된 링크에 스마트폰으로 접속해 출차를 요청하면 파키가 움직여 차량을 다시 주차장의 가운데 그려진 노란 선 구역으로 운반한다. 직진으로 바로 주차장 출구로 빠져나갈 수 있는 방향으로 알아서 차를 돌려놓는다. 이렇게 픽업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다시 알림톡이 전송되고, 키오스크로 간단한 확인을 진행한 뒤 출차하면 된다. 이와 같이 주차장 상황에 따라 키오스크로 서비스를 제어 할 수 있지만, 기술적으로는 이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한 입출차가 가능할 수 있도록 구현한 상태다.
카카오모빌리티 로봇발레 서비스 관계자는 “기술적 완성도가 높은 주차로봇을 실제로 편리한 서비스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통합교통서비스(MaaS) 플랫폼으로서 카카오모빌리티가 쌓아온 역량과 강점이 십분 활용됐다”며 “플랫폼 기업으로서 모빌리티와 관련된 다양한 미래 기술의 효용이 실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창구 역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